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전경련 "30대 그룹 ESG위원회 '지배구조' 이슈에 집중"

전경련 "30대 그룹 ESG위원회 '지배구조' 이슈에 집중"

등록 2022.09.20 06:00

이지숙

  기자

공유

1년 반 동안 15개 그룹 48개 위원회, 평균 5.4회 회의 개최ESG 관리 안건 34.9%, 지배구조 분야 안건 32.3% 차지

표=전경련 제공표=전경련 제공

국내 30대 그룹 ESG위원회가 지난해 출범 이후 ESG 전략 수립 및 시행, 지배구조 개선 관련 안건을 중점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일 'ESG 위원회 안건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30대 그룹 중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관련 내용을 공시한 15개 그룹의 ESG 관련 활동과 주요 안건을 분석했다.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 반 동안 15개 그룹의 48개 위원회는 총 257번의 회의를 개최했다. 1개 위원회가 평균 5.4회의 회의를 개최한 것이다.

48개 위원회의 위원 수는 총 266명으로 위원회당 평균 5.5명의 이사가 참여 중이었으며 이사의 위원회 참석률은 98.1%를 기록했다. 총 안건 수는 654개로 회의 당 약 2.5개 안건이 상정됐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지배구조(G) 안건이 환경(E), 사회(S) 분야 보다 큰 비중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는 ▲ESG 관리 34.9% ▲지배구조 32.3% ▲일반 경영 및 투자 17.4% ▲사회 분야 10.2% ▲환경 분야 4.4% 순이었다.

한편 ESG 관리를 제외한 ESG 중 지배구조(G) 부분의 의결 안건 비중이 높았던 이유는 해당 분야에 법으로 규제되는 사안이 다수 포함됐기 때문이다.

'ESG 관리 안건'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ESG 경영 방향을 잡기 위한 전략 및 계획 수립 비중이 39.5%(90건)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위원장 선임 등 위원회 운영 23.7%(54건), ESG 추진 경과가 15.8%(36건)로 뒤를 이었다.

ESG 관련 공시 및 각종 보고서 발간에 대한 논의도 11.4%(26건)로 ESG 공시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았다.

'지배구조 관련 안건' 중 제일 많이 논의된 주제는 '내부거래, 특수관계자 등과의 거래에 대한 승인'으로 64.9%(137건)의 비중을 나타냈다. 기업들은 윤리규정을 제정하고,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기업윤리(10.4%, 22건), 공정거래(8.1%, 17건) 측면에서도 자율적인 투명성 제고 노력을 기울였다.

환경 분야 논의 안건에는 탄소전략 안건 58.6%(17건)과 친환경사업 관련 안건 41.4%(12건)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사회 분야 논의안건 중에서는 사회공헌 안건이 68.7%(46건)로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안전 및 보건 17.9%(12건), 인권 6.0%(4건) 등의 순이었다.

투자·경영 논의안건 중에서는 투자 및 출자 36.8%(42건), 기타 사업 18.4%(21건), 경영계획 16.7%(19건)의 순으로 경영 일반 분야에서도 ESG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준호 전경련 ESG팀장은 "기업들은 지난 1년 반 동안 ESG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 주력했다"며 "정부가 공시·평가 등 ESG 관련 기준과 정책을 수립할 때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ESG 분야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