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억 미회수·연금 손실 전망사모펀드 투자 원칙 부재 지적공적기금 책임 행위 점검 목소리
(오른쪽 첫 번째)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오전 서울 노원구 홈플러스 중계점에서 열린 홈플러스 입점협의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국민연금은 MBK가 조성한 펀드에 주요 출자자일 뿐 아니라, MBK가 2015년 인수했다가 올해 3월 '기습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홈플러스에도 투자했다. 이로 인해 수천억원의 손실을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 의원은 지난 6일 자신의 SNS에 올린 '국민연금, 홈플러스 사태에 역할을 다 해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MBK파트너스는 10여개 회사들을 부실하게 만든 전력이 있다"고 지적하며 "그럼에도 국민연금은 MBK의 행위를 조사하거나 책임을 묻지 않았고, 다른 기관 투자자들과 연합해 투자를 제한하는 등 사회적 책임 투자자로서 역할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국민연금이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만 세웠어도 MBK가 국내에서 사모펀드를 만들어 사업을 벌이는 건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사회적으로 비난받는 행동을 대규모로 해온 사모펀드에 대해서는 '투자하지 않겠다'는 원칙이 명확히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사실상 국민연금이 홈플러스 사태 등 많은 기업을 부실하게 만든 MBK파트너스에 투자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해 9월 MBK가 국가기간산업인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시도할 때도 국민연금이 MBK의 투자자로 참여하기로 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벌어진 바 있다.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국가와 지역사회의 지지와 지원으로 성장한 기업을 사모펀드가 빼앗는 데 자금을 지원하는 게 적절하냐는 비판이었다.
이후 국민연금은 적대적 M&A에는 참여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MBK와 투자계약을 맺었으나, 홈플러스와 고려아연 사태뿐 아니라 과거 많은 기업의 부실화가 사회적 논란으로 확산되면서 국민연금 등 공적기금이 MBK에 아예 투자를 하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김 의원은 "최근 MBK는 홈플러스 지분을 포기하겠다고 밝혔지만 그 결과 가장 큰 손실을 보는 곳은 결국 국민연금"이라며 "국민연금이 얼마나 손실을 보는지, 이 포기가 홈플러스 사태 해결에 얼마나 유의미한지 철저히 점검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6100억여원을 투자했다. 이 가운데 약 3000억원은 현재 회수하지 못한 상태다. MBK의 기습 기업회생절차 신청으로 이 돈을 회수할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아울러 김 의원은 "국민의 노후자산을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보다 책임 있는 투자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도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 여부를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