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재무부 ESF 자산, 가용 현금 300억달러 불과
20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총재는 한미 무역협상의 핵심 쟁점인 3500억 달러 대미투자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 수준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요구"라는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박 의원은 "결국은 투자 규모에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까지 다 포함해 협상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들고 현금투자도 일시불이 아니라 여러 번 나눠서 할부로 진행하는 분산투자가 타당하다"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ESF의 전체 자산 규모가 2210억 달러 정도인데 순자산은 434억 달러"라며 미국 재무부의 외환안정기금(ESF) 규모를 고려할 때 대규모 통화스와프 체결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총재는 통화스와프 가능성에 대해선 "협상 진행 중이라 언급이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대미 투자 협상 과정에서 ESF를 통한 스와프 방안이 거론되고 있으나, ESF 자금 규모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측도 ESF는 단기적 안정화 수단으로 설계된 것이지 대규모 상시 스와프 자금 창구로 활용하기엔 구조적 제약이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이 총재의 발언이 외환시장 안정 대응에 있어 '한미 스와프'에 대한 과도한 기대를 경계하는 신중론으로 해석하고 있다.

뉴스웨이 문성주 기자
moonsj7092@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