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 연계한 신속한 사업재편 독려12월 말까지 계획서 미제출 시 지원 제외
김 장관은 26일 여수 국가산업단지를 방문해 '여수 석유화학기업 사업재편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대산이 사업재편의 포문을 열었다면, 여수는 사업재편의 운명을 좌우할 것"이라며 기업들의 신속한 사업재편 추진과 정부 지원 활용을 재차 강조했다.
김 장관은 또한 "사업재편 계획서를 기한 내 제출하지 못한 기업은 정부 지원에서 제외되며, 향후 대내외 위기 상황에서는 각자도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석유화학산업 구조 개편 3대 방향 및 정부 지원 3대 원칙이 담긴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업계에 사업재편 계획서를 12월 말까지 제시하도록 했다.
김 장관은 지난 9월 울산을 찾은 데 이어 이날 다시 여수를 찾아 석유화학 기업들의 사업재편 논의를 독려하고 신속한 결정을 촉구한 것이다.
김 장관은 이날 LG화학 산업현장을 방문해 생산 및 안전관리 현황을 점검하며 "LG화학은 국내 석유화학기업 중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R&D) 투자 선도기업"이라면서 "이번 사업재편을 통해 기존 설비 합리화뿐만 아니라 글로벌 고부가 스페셜티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투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여수산단 화학기업과 협력업체, 율촌산단 철강 제품 생산기업 등 석유화학·철강산업 생태계 유관 기업 간담회도 열렸다.
간담회 참석 기업들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부담을 호소하는 한편, 석유화학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과 대미 투자 관련 원활한 미국 비자 발급, 해외 플랜트 공사 수주 시 국책 보증 은행 한도 증액 등을 촉구했다.
이에 김 장관은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한 기업 부담에 대해 엄중히 인식하고 있으며 향후 요금조정은 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도록 전력 당국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 21일 국회 상임위를 통과한 석유화학 특별법은 내년 1분기 중 시행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으며, 미국 비자 발급은 주한미국대사관 내에 설치된 비자 발급 지원 전담 데스크를 통해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해외 플랜트 수주와 관련해 한국무역보험공사를 통한 수출금융 지원상품 등을 통해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연말까지 기업들의 사업재편 계획서 제출을 완료하고, 접수된 계획서를 바탕으로 사업재편 심의를 신속히 착수할 예정이다. 승인 시점에는 정부 지원 방안도 함께 발표된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선민 기자
minibab35@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