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사상 최고가 행진···안전자산 선호에 3900달러 돌파 글로벌 경제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심화되면서 금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3900달러를 돌파하고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과 경제지표 부재, 연준의 금리 인하 등이 안전자산 수요를 높였으며, 각국 중앙은행은 비달러 자산으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강화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세협상 긴급 대책회의···전일 韓美산업장관 회담 대통령실은 한미 관세협상 현안 대응을 위해 경제·통상·안보 관련 부처장관과 주요 참모들이 참여한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는 미국 산업장관과의 회담 결과가 공유됐으며,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관세 협상 후속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대통령실, 美에 관세협상 수정안 전달···"답변 대기 중" 대통령실이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와 관련한 양해각서(MOU)를 미국 측에 전달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일 오후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수정안을 미국 측에 제한한 게 맞고, 현재 답변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한 언론 인터뷰에서 "대미 투자 펀드 관련 양해각서(MOU) 수정안을 미국 측에 보냈다"고 전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실장의 인터뷰 내용에 대한 질
10월 예고했던 트럼프 '의약품 100% 관세' 잠정 연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미국 수입 의약품 100% 관세 부과가 주요 제약사들과의 협상 진행으로 잠정 연기됐다. 화이자가 대규모 투자와 직접구매 플랫폼 참여를 통해 관세 유예를 얻었으며, 여타 제약사들에도 같은 모델을 적용할 방침이다. 관세 시행 시기는 여전히 불확실하고, 연방정부 셧다운과 맞물려 행정 지연 및 한국 등 수출국의 가격 인상 가능성이 제기된다.
금값, 美정부 셧다운에 사상 최고치 경신···온스당 3900달러 육박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급증하며 국제 금값이 종가와 현물 기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 경제 불확실성과 달러화 약세,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5거래일 연속 금값 상승세를 이끌었다.
'오바마 케어' 보조금 충돌...美 연방정부 7년 만에 셧다운 미국 연방정부가 내년도 예산안 합의에 실패해 7년 만에 셧다운에 돌입했다. 오바마 케어 보조금 지급 연장이 핵심 쟁점으로, 공화당과 민주당의 의견 차로 인해 예산안이 부결됐다. 이에 따라 공공 서비스와 비필수 정부 업무 다수가 정지되며, 상당수 공무원이 무급 휴직에 들어갔다.
9월 수출 659억 달러, '역대 최대' 실적 기록···반도체·車 호조 한국의 9월 수출이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 대비 12.7%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반도체는 22% 급증해 전체 실적을 이끌었고, 친환경차 및 내연기관차의 증가로 자동차 수출도 16.8% 올랐다. 미국 관세 영향에도 유럽, CIS 등 수출 시장을 다변화해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우체국 금융서비스 정상 재개···우편은 29일 재개 목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8일 오후 9시부터 우체국 금융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재개한다고 밝혔다. 복구된 서비스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의 일부 시설 화재로 멈췄던 우체국 금융 서비스인 ▲우체국 체크카드 결제 ▲인터넷뱅킹 ▲ATM 기기 사용 ▲보험청약 및 보험금 청구이다. 이번 우체국금융 서비스 장애는 지난 26일 오후 국정자원 내부 시설의 화재로 인해 발생했다. 과기정통부 우정사업본부(우본)은 지난 27일 밤부터 우체국 서비스의 정
WSJ "美, 韓에 대미 투자 3,500억달러 '이상' 요구"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상무장관이 한미 무역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금 증액을 요구하며 일본 투자 수준에 근접할 것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요구에 대해 한국 정부는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으며, 해당 협상은 아직 세부 조율 중이다.
기재부·OECD, 'AI와 재정정책 역할' 논의 기획재정부가 OECD, 한국개발연구원과 함께 서울에서 제13차 한-OECD 국제재정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과 재정정책의 역할'을 주제로, AI를 통한 재정 효율화 및 투자 방향성 등 주요 이슈를 논의하며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