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바이오 '청개구리 화장품' 참존 몰락···창업주 배임 사건 후 내리막길

유통·바이오 패션·뷰티

'청개구리 화장품' 참존 몰락···창업주 배임 사건 후 내리막길

등록 2025.11.27 16:07

양미정

  기자

경영진 배임·재무 악화···기업회생 신청유통 트렌드 대응 실패·시장 경쟁력 상실

'청개구리 화장품' 참존 몰락···창업주 배임 사건 후 내리막길 기사의 사진

'청개구리' 마스코트로 국내외에서 이름을 알리며 기능성 화장품 붐을 주도했던 참존이 결국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1980~90년대 국내 기능성 화장품 시장을 선도하며 세계 100대 화장품 기업에 이름을 올렸던 참존이 창업주 일가의 배임 의혹과 사업 확장 실패, 유통 환경 변화라는 복합적 요인에 의해 쇠락한 끝에 법원의 판단을 받게 됐다.

27일 업계 등에 따르면 약사 출신 김광석 전 대표가 1984년 설립한 참존은 국내 최초로 클렌징 워터 콘셉트를 선보이며 기능성 화장품 시장을 개척했다. 청개구리 마스코트와 전국적 마케팅 전략은 브랜드 인지도를 끌어올렸고 일본·중국 등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 초에는 LG생활건강·아모레퍼시픽과 경쟁하는 중견 브랜드로 자리 잡으며 세계 100대 화장품 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시장 환경 변화는 참존 성장세의 발목을 잡았다. 로드숍 중심의 유통 혁신과 온라인 H&B 채널의 부상으로 기존 유통 구조가 흔들렸으나 참존은 이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했다. 신제품 경쟁은 치열해졌지만 브랜드 리뉴얼과 제품 포트폴리오 개편은 더뎠고 한때 강점이었던 '기능성' 이미지는 경쟁 브랜드 대비 차별성이 약화됐다. 국내외 경쟁 브랜드의 공세 속에서 시장 점유율은 점차 감소했고 매출 기반도 흔들렸다.

내부 경영 리스크는 쇠락 속도를 가속했다. 창업주 가족이 운영하던 수입차 판매 사업 '참존모터스'에 회사 자금을 부적절하게 대여한 혐의가 불거지며 배임 사건으로 번졌다. 김 전 대표의 자녀들이 관련 사업을 운영하며 참존 자금이 흘러간 것으로 검찰은 판단했다. 김 전 대표는 징역 3년을 선고 받으며 소비자와 협력사의 신뢰는 심각하게 훼손됐다.

여기에 과도한 사업 다각화와 면세점 사업권 잔금 납부 실패로 발생한 100억원대 보증금 손실, 강남 부동산 연이은 매각 등으로 재무 구조는 악화됐다. 최근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참존은 5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영업손실은 147억원에 달했다. 자본총계는 –268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였고 외부 감사인은 "필요 자료를 제공받지 못했다"며 감사 의견을 거절했다. 정상적인 재무 운영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였다.

결국 참존은 지난 2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법원은 포괄적 금지 명령을 내려 채권자의 가압류·가처분과 회사 측 재산 처분을 일시 중단시켰다. 향후 회생 절차 개시 여부는 현장 실사와 대표자 심문 등을 거쳐 결정된다. 회생 절차가 개시될 경우 채무 조정, 자산 구조 조정, 신규 투자 유치 등 전면적 기업 재편이 불가피하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시장 환경 변화와 내부 리스크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분석한다. 참존은 디지털 유통 전환, 브랜드 리뉴얼, 공급망 경쟁력 강화 등 산업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고 창업주 일가의 거버넌스 문제까지 겹치며 경쟁력이 급격히 약화됐다. 최근 K뷰티 시장이 SNS 기반 신생 브랜드와 프리미엄 기능성 브랜드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 역시 참존 입지를 더욱 좁혔다.

참존이 회생 절차를 통해 정상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브랜드 인지도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유통망 재정비와 재무 구조 개선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회생 과정에서 외부 투자 유치와 전면적인 사업 구조 개편이 병행되지 않으면 기존 경쟁력을 회복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참존 사태는 단기적 자금난보다 장기간 누적된 구조적 대응 실패가 주요 원인"이라며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된 K뷰티 시장에서 브랜드 개편과 디지털 유통 전략을 제때 구축하지 못한 데다 내부 거버넌스 불안까지 겹쳐 회생 외 선택지가 사실상 사라졌다. 정상화를 위해서는 채무 조정뿐 아니라 제품 전략, 유통 채널, 조직 운영 방식까지 전면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