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캡처 '우리는 음주운전 0건' 경찰의 어이가 없는 자화자찬 2023.06.02 16:12 지난 5월 31일 오전 8시, 전북경찰청이 도 내 경찰서와 지구대 등에 출근하는 경찰을 대상으로 음주단속을 실시했습니다. 30분 동안 진행된 단속에서 적발된 경찰은 한 명도 없었습니다. 5월 15일 발생한 전북경찰청 소속 경찰의 음주운전 사고에 대한 점검 차원으로 진행된 단속이었기에 긍정적인 결과라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단속 전날 장소와 시간을 미리 공지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짜고 친 고스톱이었던 것이죠. 전북경찰청은 직원들을 대상으
카드뉴스 CEO vs 직원, 연봉 격차 얼마나? 2023.06.01 09:24 직원보다 임원의 연봉이 높다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임원과 직원의 연봉은 얼마나 차이 날까요?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82곳의 임직원 연봉을 살펴봤습니다. 기업분석 연구소 리더스인덱스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282개 대기업의 미등기 임원 보수는 3억2400만원입니다. 9100만원인 직원 평균 연봉보다 3.6배 많은 금액이지요. 임원 중 가장 높은 자리인 최고경영자(CEO)들의 평균 연봉은 14억1200만원으로 19억2577만원이었던 전년보
상식 UP 뉴스 참외씨 먹어? 버려? 2023.05.30 16:11 요즘 과일가게에 가면 제철*을 맞은 참외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 참외는 호불호가 갈리는 포인트가 있죠. 바로 씨입니다. 참외씨는 식감 때문에 혹은 먹으면 설사가 나서 빼는 분들도 많은데요. 참외씨, 먹는 게 나을까요? 버리는 게 나을까요? 우선 참외씨가 몸에 좋은 건 맞습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참외씨엔 다량의 섬유소가 함유돼 있어 변비 해소에 좋죠. 엽산이 풍부해 임산부에게 도움이 되고 칼륨, 인 등 미네랄 성분도 많아 뼈 건강에도 이롭습
카드뉴스 서울에 '이 병원'이 그렇게 많이 늘어났다고?! 2023.05.25 08:54 각종 진료과목이 모여 있는 종합병원과 달리 개인병원은 의사의 전공에 따라 종류가 나뉩니다. 2022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는 3만4958곳의 개인병원이 환자를 맞고 있는데요.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개인병원 3만4958곳 중 27.1%에 달하는 9,467개 병원이 서울에 밀집해 있었습니다. 경기도는 서울보다 인구는 많았지만 개인병원은 7829곳에 그쳤지요. 서울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구 1000명당 병원이 1곳 이상인 광역자치구이기도 합니다. 인구 1000명당 병원 수가 가
이슈 콕콕 정규직 vs 비정규직, 임금 격차 더 커졌다 2023.05.24 16:58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시간당 얼마를 벌고 있을까요?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국내 전체 근로자들의 한 달 평균 근로시간은 154.9시간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9.2시간 감소했습니다. 고용형태에 따라 정규직은 169시간, 비정규직은 111.7시간을 근무했죠. 정규직은 전년보다 11.2시간, 비정규직은 3.7시간씩 줄었습니다. 시간당 임금은 어떨까요? 근로자들이 시간당 받는 돈은 2만2651원. 지난해 대비 14.4% 증가했죠. 정규직은 2만4409원으로 전년보다 15% 증가했습니다
카드뉴스 초중생 학부모 "내 자식은 의대 갔으면"···아이들 생각은? 2023.05.23 09:52 직업을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것 중 하나로 대학의 전공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는 자녀가 어떤 전공으로 진학하길 원할까요? 종로학원이 초중생 학부모 139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5.16~17)한 결과, 88.2%가 문과와 이과 중 이과 계열 진학을 원한다고 답했습니다. 문과를 원하는 학부모는 11.8%에 그쳤습니다. 이과를 선택한 학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전공은 의학 계열입니다. 절반에 가까운 49.7%가 의학 계열을 원
카드뉴스 MZ세대라면 국적 불문하고 찾는다는 '이것' 2023.05.19 08:36 도무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경기침체에 많은 이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을 텐데요. 소비를 줄여도 치솟는 물가와 공공요금 때문에 다른 방법을 선택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부업.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22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부업을 하는 직장인은 54만7000명입니다. 49만6000명이었던 2017년보다 33.1% 증가했습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고령화의 영향으로 60대의 증가세가 가장 두
친절한 랭킹씨 한국인, 연간 라면 77개···이렇게 먹는데 세계 2위?! 2023.05.18 16:56 밥을 먹자니 과할 것 같고, 간식을 만들어 먹긴 귀찮을 때 아마 많은 분들이 라면을 선택할 텐데요. 전 세계 사람들은 1년 동안 라면을 얼마나 먹을까요? 세계라면협회의 라면 판매량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라면 소비량은 1212억 개에 달합니다. 80억 명의 전 세계 사람이 평균 15개씩 먹은 셈이죠. 그렇다면 전 세계에서 한 해 동안 라면을 가장 많이 먹은 나라는 어디일까요? 세계에서 라면 소비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입니다. 2022년에만 무려 450
카드뉴스 초콜릿, 단 줄은 알았는데 이 정도라고? 2023.05.17 10:51 부드럽고 달콤한 맛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초콜릿. 특히 아이들이 간식으로 찾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이들에게 당 걱정 없이 초콜릿 먹여도 되는 걸까요? 대전충남소비자연맹은 공정거래위원회 의뢰로 시중에 판매 중인 초콜릿 15종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조사 대상 제품 모두 아이들이 섭취할 경우 주의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는데요. 제품 1개당 당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허쉬 밀크초콜릿으로 103.25g의 당류가 들어 있습니다. 1개당 당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