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 서울 12℃

  • 인천 9℃

  • 백령 12℃

  • 춘천 10℃

  • 강릉 16℃

  • 청주 12℃

  • 수원 11℃

  • 안동 10℃

  • 울릉도 14℃

  • 독도 14℃

  • 대전 12℃

  • 전주 0℃

  • 광주 14℃

  • 목포 14℃

  • 여수 15℃

  • 대구 15℃

  • 울산 13℃

  • 창원 15℃

  • 부산 14℃

  • 제주 13℃

수익성 악화 검색결과

[총 11건 검색]

상세검색

LG이노텍, 최대 매출에도 수익성 악화..왜?

전기·전자

LG이노텍, 최대 매출에도 수익성 악화..왜?

LG이노텍이 사상 최대 매출 행진에도 정작 수익성은 쪼그라들고 있다. 특히 경쟁사와 비교하면 2배 이상의 매출액을 거뒀음에도 영업이익은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많이 팔았지만 그만큼 실속은 없었다는 의미다. 이들의 최대 고객사로 꼽히는 애플이 결국 '빛좋은 개살구'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LG이노텍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4조9828억원이었다. 이는 1분기 역대 최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51

이스트소프트, 영업손실 44억원···적자 지속

IT일반

이스트소프트, 영업손실 44억원···적자 지속

이스트소프트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1월~3월) 매출 252억원, 영업손실 44억원을 나타냈다고 12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 영업손실은 전년 대비 적자 폭을 키웠다. 회사 매출은 AI SW, 커머스, 포털, 게임 등 전반적인 사업에서 역대 1분기에 해당하는 작년과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 다만, 글로벌 사업을 위한 마케팅, 통신비 등 제반 비용 등의 증가 등 영향으로 수익성은 악화했다.

CJ프레시웨이 외형 확장 성공···내실은 '속빈강정'

식음료

CJ프레시웨이 외형 확장 성공···내실은 '속빈강정'

CJ프레시웨이는 외형 확장에는 성공했으나 수익성은 놓친 모습이다. 증가세의 매출과는 반대로 영업이익률은 3년째 하락세다. 식자재 유통의 낮은 마진을 해결하지 못한 상황에서 병원 파업 장기화가 더해지면 급식 분야의 축소 한몫 했다는 평가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CJ프레시웨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940억원으로 전년보다 5.3%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2248억원으로, 2년 연속 3조원대를 유지했다. 매출은 성

문화 팔던 스타벅스 , 진동벨 도입·배민 입점

식음료

문화 팔던 스타벅스 , 진동벨 도입·배민 입점

신세계 품에 안긴 스타벅스가 진동벨을 도입하고 배달앱에 입점한 데 이어 구독 서비스를 선보이며 글로벌 방침을 벗어나 독자 행보를 밟는 모양새다. 이 같은 변화는 최근 수익성 지표가 하락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풀이된다. 12일 스타벅스에 따르면 지난 10월 개시한 구독 서비스 '버디패스(Buddy Pass)' 이용자의 11월 평균 구매 금액과 건수가 전월(9월) 대비 각각 61%, 72% 늘었다. 구독 서비스 출시 전과 비교하면 이용자의 구매 금액과 방문 빈도가

국내외 실적 다 부진한 '농심'···증권가, 4분기도 어렵다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국내외 실적 다 부진한 '농심'···증권가, 4분기도 어렵다

농심이 올해 3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국내외 전체적으로 판촉비용 등이 증가한 반면 주력 제품 매출이 감소하면서다. 증권가에서는 4분기도 프로모션 비용 지출로 수익성이 악화할 것으로 진단했다. 다만, 북미 법인의 미국 2공장 신규 라인 가동 등 해외 사업에 대한 중장기 모멘텀(상승여력)은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농심은 3분기 매출액 8504억원, 영업이익 37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0.6%, 32.5% 급감한 수치로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를 28.9% 하

"외국인 관광객 느는데"···면세업계, 여전한 '골머리' 왜?

유통일반

"외국인 관광객 느는데"···면세업계, 여전한 '골머리' 왜?

국내 면세업계가 엔데믹 이후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여전히 골머리를 앓고 있는 모양새다. '큰 손'으로 꼽히는 유커(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회복이 더딘 데다 여행 행태가 개별 위주로 변화하면서 면세점 쇼핑보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높은 상품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면서다. 5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방한 외래 관광객은 총 146만2797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88만8776명) 대비 64.6%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중소형 제약사 과반 영업익 감소···수익성 '빨간불'

제약·바이오

중소형 제약사 과반 영업익 감소···수익성 '빨간불'

지난해 중소형 제약사가 매출 성장을 이뤘지만, 영업이익률이 감소해 수익성은 악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5000억원 미만 제약사 60곳의 합산 매출은 9조5836억원이다. 2022년 9조334억원 대비 1년 새 6.09% 증가했다. 이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시장 상장 제약바이오기업 중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발표한 기업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다. 모든 수치는 가능한 한 연결 손익계산서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기업 ‘접대비’, 중소기업 수익성 악화 주범

기업 ‘접대비’, 중소기업 수익성 악화 주범

기업의 접대비 부담이 중소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재벌닷컴이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통계청, 중소기업청이 집계한 기업실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접대비는 6조6000억 원이었다. 이는 같은 시점 우리나라 전체 기업 360만2476개사(종업원 1인 이상)가 올린 매출액 3천450조8000억 원의 0.19%를 차지하는 규모다.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접대비는 2009년 5조6000억 원(매출 대비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