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자산운용사
다올투자증권, 상반기 순이익 319억원···지난해 대비 '흑자 전환'
다올투자증권이 상반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면서 순이익 319억원을 기록했다. 채권영업·트레이딩 부문이 수익 안정화에 기여했고, IB 부문은 부동산 PF 익스포저 축소와 충당금 부담 완화로 손익이 개선됐다. 계열사인 다올저축은행과 다올자산운용도 실적이 크게 성장했다.
[총 227건 검색]
상세검색
증권·자산운용사
다올투자증권, 상반기 순이익 319억원···지난해 대비 '흑자 전환'
다올투자증권이 상반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면서 순이익 319억원을 기록했다. 채권영업·트레이딩 부문이 수익 안정화에 기여했고, IB 부문은 부동산 PF 익스포저 축소와 충당금 부담 완화로 손익이 개선됐다. 계열사인 다올저축은행과 다올자산운용도 실적이 크게 성장했다.
보험
한화손보, 상반기 순이익 800억원···신계약 CSM 전년比 23%↑
한화손해보험은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8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8.4% 감소했으나, 매출액은 3조3226억원으로 13% 증가했다. 신계약 CSM은 전년 대비 23% 늘어난 4510억원에 달했으며, 여성건강보험과 시니어·유병자 신상품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증권·자산운용사
메리츠증권, 상반기 순이익 4435억원···전년比 19.9%↑
메리츠증권이 상반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443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9.9% 증가했다. 자산운용과 예탁자산, 일평균 거래대금 등 전 사업 부문이 고르게 성장했고, 기업금융본부 신설 등으로 IB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보험
한화생명 상반기 순익 4615억원 '뚝'···신계약 CSM 9255억원 달성
한화생명은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순이익이 4,615억원으로 전년 대비 30.8% 감소했다. 보험손익과 투자손익 모두 하락했으며, 부채할인율 강화 및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신계약 CSM은 9,255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자본건전성 지표(K-ICS)도 상승하는 등 구조 개선 노력을 이어갔다.
은행
2분기 '리딩뱅크' 내준 신한은행···하반기 승부처는 충당금·비이자
KB국민은행이 2분기 순이익에서 신한은행을 앞서며 리딩뱅크 타이틀을 탈환했다. 양 은행 모두 금리 인하로 순이자마진 하락세를 겪었으나, 비이자이익 및 충당금 관리 전략이 실적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하반기에는 비이자 부문 강화와 충당금 대응 역량이 리딩뱅크 경쟁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카드
현대카드, 상반기 순이익 1655억원···전년比 1.0%↑
현대카드는 올해 상반기 순이익 165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영업수익은 2조1255억원으로 11.1% 늘었고, 신용판매 취급액 역시 6.8% 확대됐다. 회원수 및 상품경쟁력 강화가 실적 호조를 견인했으며, 리스크 및 연체율 관리를 통해 건전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증권·자산운용사
우리투자증권, 상반기 순익 171억원···전년比 348%↑
우리투자증권은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348.7% 급증한 171억 원을 기록했다. 모바일트레이딩서비스(MTS) 오픈과 투자매매업 본인가 이후 비이자이익이 크게 늘고, IB 수수료와 유가증권 이익도 동반 상승했다. 리테일 고객은 67만 명을 돌파했다.
금융일반
4대금융, 상반기도 '역대급 실적'···금리인하 속 비이자이익 쑥쑥(종합)
4대금융(KB, 신한, 하나, 우리)은 올해 상반기 총 순이익 10조원을 달성했다. KB금융이 리딩금융 지위를 공고히 했고, 신한·하나금융은 비이자이익 확대가 실적을 견인했다. 우리금융은 순이익 감소에도 보험사 편입 효과로 하반기 실적 반등을 노린다.
카드
삼성카드 1위 독주 계속···신한카드, PLCC로 반격 시동
삼성카드가 올해 상반기 신한카드를 제치고 카드업계 순이익 1위를 굳혔다. 신한카드는 신용판매에서 여전히 선전하고 있으나, 당기순이익 격차는 890억원까지 늘어났다. 양사는 PLCC 카드 제휴와 회원 확보 전략을 강화하며 하반기 더 치열한 선두 경쟁이 예상된다.
카드
KB국민카드, 2분기 순이익 968억원···전분기比 14.6%↑
KB국민카드는 올해 2분기 순이익이 전분기 대비 14.6% 증가한 968억원을 기록했다. 이자수익은 감소했으나 건전성 개선으로 신용손실전입액이 줄었으며, 연체율과 NPL 비율도 각각 1.40%, 1.20%로 낮아졌다. 회사는 AI 기반 신용평가모델 고도화와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