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릴리서 220억 지분 투자
에이비엘바이오가 일라이 릴리와 220억원 규모의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릴리는 보통주 17만5079주를 주당 12만5900원에 인수하며, 투자금은 그랩바디 플랫폼 및 이중항체 ADC 등 주요 신약 연구 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글로벌 신약 개발과 다양한 파트너십 확대가 기대된다.
[총 66건 검색]
상세검색
제약·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릴리서 220억 지분 투자
에이비엘바이오가 일라이 릴리와 220억원 규모의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릴리는 보통주 17만5079주를 주당 12만5900원에 인수하며, 투자금은 그랩바디 플랫폼 및 이중항체 ADC 등 주요 신약 연구 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글로벌 신약 개발과 다양한 파트너십 확대가 기대된다.
제약·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그랩바디-B' 기술이전···CNS 플랫폼 확장 시동
에이비엘바이오가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를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에 3조8000억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에이비엘바이오는 계약금 및 마일스톤, 로열티를 확보하며, 플랫폼 확장성과 추가 글로벌 빅파마와의 협업 가능성을 높였다.
제약·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3.7조 기술이전···글로벌 빅파마 3연속 계약 '쾌거'
에이비엘바이오가 일라이 릴리와 3조7,487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를 활용해 세계적 제약사와 세 번째 대형 계약을 성사시켰으며, 누적 기술수출 규모는 11조원을 돌파했다. 이번 계약으로 계약금, 단계별 마일스톤, 로열티 등 다양한 수익원이 확보됐다.
종목
[특징주]에이비엘바이오, 3.8조 기술 수출 소식에 2거래일 연속 강세
에이비엘바이오가 일라이 릴리와 신약 개발을 위한 3조7천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 소식에 힘입어 장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번 계약으로 약 4000만달러의 계약금과 최대 25억달러의 마일스톤, 순매출 로열티도 기대된다.
종목
키움증권 "에이비엘바이오, 릴리 대규모 기술이전 효과 주목···목표가 80% 상향"
키움증권이 에이비엘바이오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18만원으로 80% 상향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릴리와의 3조8000억원 규모 뇌 질환 신약 기술이전 계약에 성공하며 알츠하이머 등 뇌 질환 치료제 개발 기대감이 높아졌다. 플랫폼 신뢰도 상승과 추가 기술이전 가능성, 파킨슨 치료제 임상 진전도 주목된다.
제약·바이오
"성과급에 스톡옵션까지"···제약바이오 상반기 고액 보수 줄지어
올해 상반기 제약바이오·헬스케어 업계에서 보수 5억원 이상을 받은 임직원이 약 50명으로 집계됐다. 한미 임종윤 전 사장이 88억원으로 1위, 삼성바이오로직스 존 림 대표가 급여·상여금 기준 1위를 기록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임직원 평균 연봉이 전년보다 63% 급등하며 보수자 명단에 새롭게 올랐다.
제약·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2분기 '깜짝 실적'···'돈 버는 바이오'로 전환 가속
에이비엘바이오는 2분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기술이전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수익 창출에 성공했다. 핵심 이중항체 플랫폼인 그랩바디와 파이프라인인 ABL001, ABL111의 임상성과가 가시화되며 안정적 현금 흐름과 추가 기술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종목
CPS 추가 상장에 에이비엘바이오 삐끗···증권가는 "추가 매수 기회"
에이비엘바이오가 전체 주식의 11%에 달하는 기명식 전환우선주식(CPS) 추가 상장으로 단기 주가가 17% 넘게 하락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선 오버행 우려가 부각됐으나, 증권가는 ABL301 등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 결과에 주목하며 저가매수 기회로 평가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2.0 선언···'이중항체+BBB 셔틀' 투트랙 승부수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및 BBB 셔틀 플랫폼 등 혁신적 R&D 포트폴리오로 글로벌 빅파마 도약을 선언했다. 대표 파이프라인 ABL111과 ABL001이 임상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기록했으며, 미국 자회사 네옥을 통한 이중항체 ADC 임상 및 현금 조달 구조도 공개했다. 오버행 이슈에 대한 시장 우려를 일축하며 장기 성장을 약속했다.
제약·바이오
[NW리포트]국내 제약바이오 항체약물접합체(ADC) 상용화 고군분투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동아에스티가 자체 플랫폼, 해외 파트너십, 신규 페이로드 개발 등 차별화 전략으로 글로벌 기술이전과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