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철도공단·도로공사, 공사 안전비 줄여 수십억 남겨

철도공단·도로공사, 공사 안전비 줄여 수십억 남겨

등록 2014.11.05 09:39

김지성

  기자

공유

공공기관 발주공사 사망사고율, 전체 평균보다 높아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 발주공사의 안전관리비가 법정 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 의원이 각 공공기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철도공단과 도로공사는 각각 13개 공구와 12개 공구에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기준을 위반했다.

고용노동부가 고시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에 따르면 건설공사의 종류와 금액에 따라 총 공사비의 일정 비율을 안전관리비로 써야 한다.

철도공단은 2009년 발주한 호남고속철도 13개 공구에서 모두 기준을 위반했다. 이들 공구의 법정 안전관리비는 총 공사비의 1.88%였지만 철도시설공단은 1.58%만 책정했다.

특히 6개 현장에서 11차례 과태료를 받았지만 2건만 직접 내고 나머지 9건은 시공사에 떠넘기기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도로공사도 2008∼2011년 발주한 울산∼포항고속도로 등 12개 공구 건설사업에서 안전관리비를 법정 기준(총 공사비의 2.26%)보다 낮은 1.88%로 정했다.

이 두 기관은 이 같은 방식으로 각각 50억원과 30억원을 남긴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공공기관 발주공사 사망사고율은 전체 건설공사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2013년 3년간 27개 주요 공공기관 발주공사로 181명이 숨졌다.

지난해 공공기관 발주공사 근로자 1만명당 재해사망자는 2.98명으로 전체 건설업 평균(2.21명)보다 많았다.

김지성 기자 kjs@

뉴스웨이 김지성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