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하남·동탄2신도시·김포, 공급과잉 우려지역

하남·동탄2신도시·김포, 공급과잉 우려지역

등록 2016.02.15 09:01

신수정

  기자

공유

가구수 대비 입주물량 비교. 자료=닥터아파트 제공.가구수 대비 입주물량 비교. 자료=닥터아파트 제공.


2016~2018년 주택 공급과잉이 우려되는 지역으로 하남, 동탄2신도시, 김포 등이 꼽혔다.

15일 닥터아파트가 2016~2017년 수도권에 공급과잉이 우려되는 지역을 아파트 입주물량과 주민등록 세대수(2014년 현재)를 통해 비교분석한 결과 미사강변도시가 입주예정된 하남이 16.1%로 가구수 대비 입주물량이 가장 많았다.

이어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이 몰린 화성(7.1%)이 2위를, 한강신도시의 김포(5.8%)가 3위를 차지했다. 평택(4.9%), 구리(4.7%), 시흥(4.4%), 오산(3.6%), 광주(3.3%) 등이 수도권 및 경기 평균 수치를 웃돌았다.

닥터아파트는 주택 수요량 기초데이터로 지역별 주민등록 세대수(2014년 기준)를, 공급물량 데이터로는 2016~2017년 연평균 아파트 입주물량을 기준으로 했다. 지역별 연평균 입주물량을 주민등록 가구수로 나눠 100을 곱해 입주량(%)을 계산했다.

이들 지역은 외부 주택수요가 없다면 올해와 내년에 공급과잉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할 지역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서울은 0.6%로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특히 재개발 재건축으로 인해 2016~2018년 서울 멸실주택은 10만여가구에 달할 것으로 보여 공급과잉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인천도 1.2%로 2017년까지는 공급과잉 우려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수요 공급에 대한 기초데이터를 통한 단순 분석이지만 가구수에 비해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수정 기자 christy@

뉴스웨이 신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