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김영란법 시행 1년, 500대 기업 상반기 접대비 15% 감소

김영란법 시행 1년, 500대 기업 상반기 접대비 15% 감소

등록 2017.09.27 08:34

임정혁

  기자

공유

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사진=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부정청탁금지법이 시행 1년을 맞으면서 올 상반기 국내 500대 기업의 접대비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국내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접대비를 분리 공시한 139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접대비는 총 97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부정청탁금지법 시행 이전인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15.1%(173억원)나 줄어든 것이다. 특히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매출은 6.3%(13조3천656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기업 가운데 접대비를 줄인 곳은 전체의 73.4%인 102개였다. 기업 4개 가운데 3개가 접대비를 줄인 셈인데 유한양행을 비롯한 제약업계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유한양행은 무려 81.4%나 접대비를 줄였으며 엔씨소프트(74.0%)와 대웅제약(73.5%)도 70% 이상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제약업종이 51.2%나 줄어들어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이어 조선·기계·설비(38.4%), 서비스(29.9%), 유통(25.1%), 자동차·부품(20.3%)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접대비가 증가한 업종은 IT·전기·전자(11.7%), 상사(11.0%), 여신금융(3.6%) 등 3개였다. 법 시행 이후 오히려 접대비를 늘린 기업은 37개로 나타났는데 미래에셋캐피털(94.6%)의 증가폭이 가장 컸다.

다만 매출 10대 기업 중 기아차, 현대중공업, 현대모비스는 접대비 내역을 공개했지만 삼성전자와 현대차, 한국전력, LG전자, 포스코, SK이노베이션, 삼성생명은 공시하지 않았다.

접대비 내역은 의무 공시 사항이 아니라고 CEO스코어 측은 설명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