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창용 "고물가 고착 방지 위해 금리인상 기조 이어갈 것"

2022 국감

이창용 "고물가 고착 방지 위해 금리인상 기조 이어갈 것"

등록 2022.10.07 10:35

한재희

  기자

공유

7일 기획재정부 국정감사 출석

이창용 한국은행총재가 지난달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업무보고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이창용 한국은행총재가 지난달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업무보고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7일 "지난해 8월 이후 총 일곱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한데 이어 고물가 상황 고착을 방지하기 위해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기준금리 인상의 폭과 시기는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와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여건의 변화가 국내 물가와 성장 흐름,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 결정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파운드화 가치가 37년 래 최저 수준으로 급락하고 위안화 약세폭도 확대되는 등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이 더욱 확대됐다"며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넘어 상당히 높은 수준까지 상승한 가운데 국고채 금리가 이례적으로 큰 폭으로 등락하는 등 높은 변동성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물가는 개인서비스물가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를 크게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고 앞으로도 상당기간 5~6%대의 오름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높은 수준의 환율이 추가적인 물가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금융안정 측면에선느 금융불균형 위험이 축소됐고 금융기관의 자본적정성과 유동성비율이 규제기준을 충족하는 등 금융시스템의 복원력도 양호한 상태"라고 전했다.

다만 "금리상승으로 취약차주의 채무상환부담이 가중되면서 일부 금융기관의 대출 건전성이 악화될 리스크가 잠재돼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만큼 정부와 협력하여 금융·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경우에는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실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