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에코프로, 배터리 재활용 생산능력 2027년까지 2배 확대

산업 에너지·화학

에코프로, 배터리 재활용 생산능력 2027년까지 2배 확대

등록 2023.10.15 16:20

김정훈

  기자

공유

지난 6일 에코프로와 현대글로비스, 에바사이클, 경북도청, 경북테크노파크 등이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얼라이언스(Alliance)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에코프로 제공지난 6일 에코프로와 현대글로비스, 에바사이클, 경북도청, 경북테크노파크 등이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얼라이언스(Alliance)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에코프로 제공

에코프로그룹이 배터리 재활용 생산능력을 오는 2027년까지 2배 이상 확대한다. 배터리 재활용을 맡고 있는 에코프로씨엔지의 생산능력을 현재 연 3만톤에서 6만1000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에코프로는 기아, 현대글로비스, 에바사이클, 경북도청, 경북테크노파크와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얼라이언스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에코프로는 지금까지 배터리 양극소재 제조과정에서 나오는 스크랩, 배터리 셀 제조회사에서 공급받는 폐배터리셀의 재활용을 진행했으나,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전기차 폐배터리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한다.

에코프로씨엔지는 연내 제2공장을 착공해 2025년 1분기에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2025년 4분기에는 3공장 설립 준비를 마치고 헝가리와 캐나다 등 해외에도 생산라인을 구축해 2027년에는 6만1000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박석회 에코프로씨엔지 대표는 "자동차 OEM들과 폐배터리 생태계 구축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는 2025년 27조원에서 2040년 272조원 수준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재활용 원료 시장도 스크랩과 폐배터리를 포함해 2025년 86만톤에서 2040년 620만톤으로 연 평균 1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정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