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경총 "현대차 사내하도급 대법원 적법 판결 환영"

산업 자동차

경총 "현대차 사내하도급 대법원 적법 판결 환영"

등록 2023.10.27 09:08

박경보

  기자

공유

대법원, 사내하도급 근로자지위확인소송 원심 확정경총 "분업과 협업 위한 하도급 정당성 인정한 것"

현대차의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가 울산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사진=현대차 제공현대차의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가 울산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사진=현대차 제공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현대자동차 사내하도급이 적법하다는 대법원 판결에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경총은 27일 입장문을 내고 "대법원 판결은 그동안 생산공장 내 하도급은 불법파견이라는 획일적 판단에서 벗어난 것"이라며 "부품조달물류업무와 같이 원청과 하청회사 간 분업과 협업을 위한 사내하도급 활용의 정당성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평가했다.

대법원은 지난 26일 현대차 사내하도급 근로자들이 현대차를 상대로 낸 근로자지위확인 소송에서 부품조달물류업무(서열 및 불출업무)의 사내하도급이 적법하다는 원심을 확정했다.

이번 판결에서 대법원은 업무수행방식이 동일하다고 해서 원청으로부터 상당한 지휘명령을 받았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고 봤다. 원청의 지휘 여부 등을 따져 구체적,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취지의 원심을 인정한 것이다.

원심 재판부는 근로관계의 실질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사업장별·공정별·협력업체별로 다를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같은 협력업체 내에서도 구체적인 담당 업무나 근무상황에 따라 개별 근로자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고 판시했다.

대법원은 앞서 지난해 7월 포스코의 제조실행시스템(MES)이 업무상 지휘‧명령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이번 판결에서는 MES를 통한 부품서열정보의 제공은 부품공급망에서의 정보 전달일뿐 원청의 지휘‧명령의 도구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원심을 유지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