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지난해 IPO 기업 82개사···1000억원 이상 대형급 4개사에 불과

증권 증권일반

지난해 IPO 기업 82개사···1000억원 이상 대형급 4개사에 불과

등록 2024.02.27 14:40

안윤해

  기자

공유

금융감독원.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금융감독원.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지난해 기업공개(IPO) 시장 회복에 따라 IPO 건수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IPO 시장동향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IPO 기업은 82개사로 2022년(70개사) 대비 17.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공모금액은 2022년 15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3조3000억원으로 78.8% 감소했다.

이는 2022년에는 공모금액이 12조7000억원에 이르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가 있었던 영향이다. 이를 제외하면 작년 공모금액은 전년대비 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규모별 IPO는 코스닥을 중심으로 100억∼500억원 규모의 중소형 기업이 62개사로 전체의 75.6%를 차지했다. 1000억∼1조원 규모의 대형 IPO는 4개사, 1조원 이상 초대형 IPO는 전무했다.

지난해 수요예측 참여기관 수는 1507개사로 전년(976개사) 대비 54.4% 늘었다. 같은 기간 수요예측 경쟁률도 836대 1에서 925대 1로 10.6% 높아졌다.

아울러 수요예측 시 희망범위 상단을 초과해 공모가가 확정된 비중은 74.4%로 전년(54.2%)보다 20.2%포인트(p) 높아졌다. 의무보유 확약 물량 우선배정 제도 도입 영향으로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22.7%에서 26.4%로 3.7%p 늘었다.

지난해 기관투자자 배정은 운용사(펀드) 56.8%, 외국인 11.1%, 기타 20.6%, 연기금·은행 7.8% 등으로 집계됐다.

청약 경쟁률은 934대 1로 전년(775대 1) 대비 20.7% 상승했다. 공모가 대비 상장일 시초가 수익률은 30%에서 82%, 종가 수익률은 28%에서 72%로 각각 52%p, 44%p 높아졌다.

지난해 12월 이후 상장 첫날 이른바 '따따블'(공모가의 4배)을 기록한 IPO 5건 중 2건은 지난 21일까지 상장일 종가 이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3개사는 상장일 대비 -49.7%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뉴스웨이 안윤해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