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12월 말 보통주자본비율은 13.07%로 3분기 말 대비 0.26%포인트(p) 하락했다.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은 각각 14.37%, 15.58%로 전분기말 대비 각각 0.28%p, 0.26%p 하락했으며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77%로 전분기말 대비 0.03%p 떨어졌다.
금감원은 2024년말 현재 모든 국내은행이 자본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씨티·SC·카카오가 16.0%를 상회해 매우 안정적인 모습이며, 산업은 14%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SC·카카오·토스 등은 14% 이상, KB·하나·신한·수출입·케이 등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SC(△2.81%p)·카카오(△1.27%p)·농협(△0.68%p) 등 대부분 은행은 전분기말 대비 보통주자본비율이 하락한 반면 토스(+0.29%p), 케이(+0.26%p), 우리(+0.18%p), 하나(+0.05%p) 등 4개 은행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금감원은 작년말 국내은행의 자본비율 하락은 4분기 중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은행 위험가중자산은 2024년 3분기 21조5000억원에서 4분기 36조8000억원으로 늘어났다.
금감원은 "올해 들어서도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기회복 지연, 미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는 등 자본여력을 계속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감원은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신용공급 축소 없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