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은 6일 "원자재 가격 급등락은 전쟁, 관세 등 국제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지속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당부했다.
국내 원자재 ETP 자산가치 총액은 2조7000억원으로 전체 ETP 자산가치 총액의 1.3%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하지만 천연가스 기초 상품은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 비중이 91.1%, 원유 기초 상품은 72.8%에 달하는 등 변동성이 큰 상품에 집중돼 있다.
최근 원자재 가격은 이란·이스라엘 전쟁과 미국발 관세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 6월에는 WTI 유가지수가 배럴당 68달러에서 시작해 10.4% 상승한 뒤 일주일 만에 14.3% 폭락한 바 있다. 미국 구리 선물 가격도 6월 말 파운드당 5.08달러에서 시작해 14.5% 상승했다가 20.3% 급락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금감원은 "레버리지, 인버스 ETP의 수익률은 기초자산의 수익률에 추적 배수를 곱해 결정되기 때문에 변동성이 큰 원자재 시장에서는 단기간 투자 손실이 커질 수 있다"며 "자산 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 누적 수익률이 기초자산 수익률보다 낮아지는 복리 효과도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단기간 투기 자금 유입이 증가하면서 괴리율 확대 가능성도 나온다. 괴리율은 ETP의 시장 가격과 자산 가치 간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괴리율이 확대된 이후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괴리율만큼의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금감원은 "사전에 괴리율 정보를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ETP 거래 규모와 괴리율 등에 대한 이상 징후 모니터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무역 갈등과 지정학적 위험성으로 투자 위험이 커지면 신속하게 소비자 경보를 발령하는 등 대응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