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절감·효율성↑···송금, 결제, 무역에 실질 적용 모색해외 송금·지역화폐 등 실질적 수요 확대 주목은행·빅테크, 디지털 결제와 송금 시장 확대 모색
18일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디지털원화 시대 개막' 포럼에 우리은행, KB국민은행,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 관계자들이 참석해 이 같은 의견을 모았다.
이날 윤성후 우리은행 신사업제휴플랫폼부장은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거래소의 기축통화로 주로 활용되며 그 외에는 송금과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면서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방안으로 쓰이기 어려운 상황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이어 "국내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자산 거래 유인이 상대적으로 적고, 송금과 결제, 외국인 근로자 등 한정된 영역에서만 수요가 있다"며 "무역거래 활용과 같이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 '예금 이탈'이라는 은행업의 위기를 스테이블코인 발행, 준비자산 수탁 등으로 신규 수익원 창출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은행권 공동 대응으로 발행사업자 인가 요건, 디지털자산보관사업자 자격 강화를 비롯해 외국환거래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민강 KB국민은행 DT추진부차장은 "기존 금융 인프라는 결제 단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어 효율성이 낮고 지연이 발생한다"며 "스테이블코인은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결제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KB국민은행은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한 해외 송금, 한류 콘텐츠 결제, 지역 화폐 등 다양한 사업 모델을 구상 중"이라며 "정부 정책에 맞춰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페이는 신중론을 내세우며 파트너십 강화에 방점을 뒀다. 이병규 네이버페이 혁신성장지원실 이사는 "스테이블코인은 잠재력을 지닌 새로운 화폐"라며 "다만 혼자서는 시장 혁신이 불가능하다. 은행, 블록체인 기업 등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연계·협력이 필수"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기술적 안정성과 운영 투명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히 시장에 진입하지 않겠다"며 "파트너십 확대와 업계 표준 마련을 통해 디지털 결제·송금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카카오페이는 유즈케이스 검증을 강조했다. 박정호 카카오페이 서비스총괄부사장은 "스테이블코인은 시장과 사회의 문제를 빠르게 풀 수 있는 새로운 속성의 화폐"라며 "정부 소비 바우처를 비롯해 퇴직급여 충당금 자동화, 국내를 방문한 외국인의 온·오프라인 결제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정호 서비스총괄부사장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규제 샌드박스를 마련하면서 제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며 "초기 유저 온보딩을 위한 혜택 지원과 인센티브 구조 도입도 검토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서창훈 비바리퍼블리카 사업개발이사는 "토스는 오늘 참석한 곳 중 가장 막내다. 토스를 시작으로 토스증권, 페이먼츠 등 다양한 분야로 토스 생태계를 확장 중"이라며 "토스뱅크의 신뢰와 토스 슈퍼앱의 활용 확장으로 송금, 결제, 투자 등 일상 속 금융 혁신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한종욱 기자
onebel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