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20일 수요일

서울 30℃

인천 29℃

백령 23℃

춘천 31℃

강릉 31℃

청주 32℃

수원 30℃

안동 33℃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32℃

전주 32℃

광주 30℃

목포 30℃

여수 30℃

대구 33℃

울산 31℃

창원 31℃

부산 30℃

제주 28℃

산업 "연말까지 NCC 370만톤↓"···'정유·석화 수직통합' 탄력받나

산업 에너지·화학

"연말까지 NCC 370만톤↓"···'정유·석화 수직통합' 탄력받나

등록 2025.08.20 16:39

수정 2025.08.20 16:45

차재서

  기자

공유

여수·대산·울산 산업단지 구조조정 동시 추진 "산단별로 '대형 NCC' 최소 1기씩은 줄여야" 롯데·HD 등 기업간 'NCC 통합' 속도 붙을 듯

LG화학 여수 NCC(나프타분해시설)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제공LG화학 여수 NCC(나프타분해시설)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제공

석유화학 구조조정에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산업 재편이 시급하다는 공감대 속에 정부도 연말까지 NCC(나프타 분해 설비) 생산능력을 최대 25% 감축하라는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하면서다. 정유사와 석유화학 수직통합 등 여러 시나리오가 거론되는 가운데 주요 기업간 논의가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석유화학산업 사업재편안을 논의했다. 이어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석유화학 기업 CEO와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주문했다.

정부가 설계한 3대 방향은 ▲과잉 설비 감축과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영향 최소화 등이다. 이어 여수·대산·울산 등 3개 석유화학 산업단지의 구조조정을 동시에 추진하며, 기업 스스로 노력해야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이른바 '선 자구노력, 후 지원'의 원칙도 수립했다.

특히 정부는 연말까지 NCC 생산능력을 총 270만~370만톤 줄여야 한다는 계획도 공유했다. 국내 전체 NCC 생산능력 1470만톤의 18~25% 수준으로, 대형 NCC 2~3기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국화학산업협회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을 통해 진행한 컨설팅 용역을 바탕으로 도출됐다.

정부가 NCC를 지목한 것은 우호적이지 않은 경영환경에 기인한다. 생활용품부터 전기전자·컴퓨터·자동차·건설 등 모든 산업과 연결돼 있지만, 중국발(發) 공급과잉에 수요 둔화로 수익성과 가동률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최근엔 한화와 DL그룹이 합작사 여천NCC의 자금 지원 여부를 놓고 공개적으로 감정싸움을 벌이면서 위태로운 업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도 했다.

업계에선 이를 계기로 NCC 재편 논의가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가 내건 목표치를 맞추려면 산업단지별로 적어도 대형 NCC 하나씩을 줄여야 하며, 연말까지 그 방안을 수립해야 하는 만큼 기업도 서두르지 않겠냐는 인식이 앞선다.

그 중 시선을 모으는 쪽은 정유와 석유화학의 수직 통합이다. 원유 정제부터 합성수지·합섬섬유·특수소재 등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합치면 수익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판단에 대안으로 지목되고 있다.

롯데케미칼과 HD현대오일뱅크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대산석유화학단지 내 NCC를 통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방식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지지부진한 양상을 띠고 있는데, 정부의 주문과 맞물려 곧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점쳐진다.

SK이노베이션의 움직임도 관심사다. 이 회사는 작년부터 대한유화와 울산 NCC 협력을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

여수산단에선 GS칼텍스가 움직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단지에 위치한 크래커(기초유분 생산설비)가 7기에 달하는 반면, 정유사는 이 회사 한 곳 뿐이어서다. 한 때 통합설이 돌았던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의 NCC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매물로 꼽힌다.

다만 이렇다 할 '당근책'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은 변수다. 당초 업계에선 정부가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자 자금을 지원하고 기업결합 심사를 간소화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정부가 업계의 '성의'를 보고 후속 지원 방안을 확정하겠다고 선을 그으면서 구조조정이 공회전을 거듭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270만~370만톤 감축 목표에 대해선 업계도 동의했고, 기업이 어느 설비를 얼마나 줄일지를 정부 차원에서 따로 정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시한을 못 박는 게 적절하지 않지만 최대한 신속하고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업마다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지원도 다를 것"이라며 "자구 노력 정도에 따라 맞춤형 패키지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