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가계부채 대책에도 집값·가계대출 경계감 여전미 연준 금리 향방 주목···시장, 10월 인하 기대감↑
정부의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여전히 가계부채와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점이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섣불리 금리를 인하했다간 가계부채·집값 상승의 불씨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에서는 금통위가 오는 10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가계대출·집값,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 미국 관세 협상 등 추이를 지켜보고 움직일 것이라는 의견이다.
한은 기준금리 또 동결···"집값·가계대출 추이 더 지켜봐야"
28일 오전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2.50%로 동결했다. 앞서 한은은 작년 10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하고 11월에 연속으로 추가 인하했다. 올해 들어서도 2월과 5월 기준금리를 낮췄고 7월 이후 2회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한은이 7월과 8월 연속 동결에 나선 이유는 부동산·가계대출 상승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7월에도 한은은 주택가격이 급등하고 가계부채가 급속도로 불어나는 점을 근거로 기준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금통위는 이날 의결문을 통해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세와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었지만 추세적으로 안정될지를 좀 더 점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2분기 가계빚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가계대출의 2분기 말 잔액은 1832조6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 1809조5000억원보다 23조1000억원 늘어났다. 증가액은 전 분기 3조9000억원의 약 6배에 이른다. 급속도로 불어난 가계빚이 금리 인하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6.27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꺾이는 모습을 보였지만 8월 셋째 주 전주보다 0.09% 오르며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가계대출의 경우 지난달 예금은행에서 2조8000억원 늘며 증가폭이 6월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지만 여전히 6.27 대책 이전 매매 계약 관련 대출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고 있는 만큼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한미 간 금리 격차도 금리 동결의 근거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기준금리를 4.50%로 유지하고 있으며, 한미 간 금리차는 2.00%p까지 벌어졌다. 다만 다음 달 16∼17일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만큼 한은이 미국의 금리 인하를 확인한 이후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추경 집행 이후 소비 심리가 빠르게 회복되고 미국과 관세 협상이 최악의 상황을 피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압박이 줄어든 점도 금통위에 동결 후 관망할 수 있는 시간을 줬다. 한은의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1.4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1월(111.6) 이후 7년 7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
올해 성장률 예상치 0.1%p↑···"기준금리 인하 기조 이어갈 것"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 전망에서 추경 등에 따른 소비 회복 효과와 미국 관세 협상 결과 등을 반영해 올해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0.8%에서 0.9%로 0.1%p 올렸다.
다만 여전히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하반기 중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금통위 또한 의결문을 통해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이 과정에서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흐름 및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오는 10월 기준금리 인하가 가장 유력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추경 집행과 금리 인하가 동반될 때 정부 지출의 승수 효과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연내 금리 인하가 꼭 필요하다"며 10월 0.25%p 인하를 점쳤다.
조영무 NH금융연구소장도 "한은도 경기를 우려하고 있고, 특히 건설 투자나 수출 관련 관세 불확실성 등을 걱정하는 것 같다"며 "따라서 가계부채·부동산이 얼마나 진정되는지, 미국이 실제로 얼마나 금리를 낮출지 확인하고 4분기에 금리를 한 차례 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스웨이 문성주 기자
moonsj7092@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