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금융투자업계 "밸류업 제도화와 지배구조 개혁 시급"

증권 증권일반

금융투자업계 "밸류업 제도화와 지배구조 개혁 시급"

등록 2025.09.29 17:57

문혜진

  기자

공유

KCMC 2025, 기업가치 제고 지속 방안 토론"선언만으로는 한계···실질적 제도 보완 필요"

2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KCMC) 2025' 두번째 세션의 '기업가치 제고 지속 방안' 토론에서 조명현 고려대 교수 사회로 패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2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KCMC) 2025' 두번째 세션의 '기업가치 제고 지속 방안' 토론에서 조명현 고려대 교수 사회로 패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한국 자본시장의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려면 밸류업 프로그램이 단순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행력을 확보해야 하며,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 소통이 강화돼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2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 자본시장 콘퍼런스(KCMC) 2025' 두 번째 세션의 '기업가치 제고 지속 방안' 토론에서 유관기관 및 업계 관계자들은 "'밸류업 계획을 내놨다'는 선언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실질적인 제도 보완과 주주 소통 강화를 주문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에서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발표에서 한국 증시가 낮은 배당 성향, 미흡한 지배구조, 과도한 상장 물량으로 저평가돼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162개 기업이 계획을 내놨지만 전체의 7%에 불과하다"며 "밸류업은 단기 캠페인이 아니라 구조적 틀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밸류업 계획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의무화 장치와 이사회 중심의 책임 경영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스테파니 린 아시아기업지배구조협회(ACGA) 리서치헤드는 "밸류업은 의미 있는 출발점이지만 저성과 기업에는 자발적 참여를 넘어 의무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좋은 사례뿐 아니라 나쁜 사례를 함께 공유하고, 이사회 주도로 투자자와 직접 소통할 때 계획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매튜 양 슈로더투자운용 시니어 인베스터는 한국 기업 비핵심 자산을 방치해 자본 생산성이 낮다고 비판했다. 밸류업 공시에 단순한 목표가 아니라 구체적인 자본 활용 방안을 담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사회 권한을 강화하고 CEO 선임위원회와 보상위원회를 의무화해야 하며, 다층 지배구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의무 공개매수 제도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본부장은 기업 역시 제도 변화에 따라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사 충실의무가 도입되면서 합병이나 자사주 활용 시 주주 이익을 별도로 고려해야 하는 상황으로 바뀌었다"며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선출제가 시행되면 기업들은 우호주주 확보와 주주 소통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성과보상 체계도 밸류업 계획과 연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좌장을 맡은 조명현 고려대학교 교수는 "공정공시 제도 때문에 기업이 주주와 사전에 소통하기 어렵다"며 "특별위원회를 통해 논의하고 그 결과를 공시해 시장과 교감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정리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