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M&A 전환에 정치권 책임론 확대쿠팡 대납업체 갑질 의혹에 정책 개선 필요성 부각정산 시스템·협력사 보호 제도 개혁 목소리 커져
지난 14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는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모습을 드러냈다. 그동안 국회 출석 요구에 불응해온 김 회장이 증인석에 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자리에는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도 동석했다.
김병주 회장은 모두발언에서 "국민께 심려를 끼쳐 드려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지만,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관련한 책임을 묻는 질의에는 "MBK는 대기업이 아니며, 나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MBK는 사모펀드(PEF) 운용사로, 13명의 파트너가 각자 역할을 맡고 있고 나는 자금 조달이 주 역할"이라며 "의사결정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여야는 "경영 실패 책임을 회피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쏟아냈다. 특히 회생절차에 따라 공익채권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 회장이 밝힌 '2000억 원 추가 증여'가 실현 가능한지도 논란이 됐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운영자금이 100억 원도 안 되는 상황에서 실제 자금 조달 계획은 없다"고 비판했다. 김 회장은 "자금 여력은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이후, 우선협상대상자를 찾지 못하고 최근엔 공개입찰로 M&A 방식을 전환했다. 김광일 대표는 "스토킹호스 방식은 실패했고, 10월 말까지 인수합병의향서(LOI)를 받아 법원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청산 가능성을 묻는 질의에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감에는 박대준 쿠팡 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해 쿠팡의 납품업체 '갑질'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쿠팡은 직매입 구조로 인해 평균 60일 이상 소요되는 정산 주기와, 일부 직원에 의한 광고비 강요 의혹으로 도마에 올랐다.
박 대표는 "정산 주기가 다소 길 수 있는 구조이지만, 단축을 위한 프로그램을 이미 일부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광고비와 관련해서는 "내부 정책상 강요는 금지돼 있으며, 위반 사례가 확인될 경우 엄정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유통업계를 강타한 홈플러스 회생과 쿠팡의 불공정 거래 논란은 이번 국감을 계기로 대기업의 책임경영과 노동환경, 협력업체 보호 문제를 재점화시켰다. 정치권은 사모펀드의 지배구조 책임 명확화, 유통기업 정산 시스템 개선 등 제도 정비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플랫폼·유통 대기업들의 책임 있는 경영과 노동환경 개선 요구가 고조되고 있다"면서 "국감 이후 제도 개선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조효정 기자
quee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