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가계대출 문 좁아진다"···주담대 금리 2년 만에 다시 6%대로↑

금융 금융일반

"가계대출 문 좁아진다"···주담대 금리 2년 만에 다시 6%대로↑

등록 2025.11.16 10:48

수정 2025.11.16 10:49

고지혜

  기자

주요 시중은행 혼합형 주담대 금리, 연 3.93~6.06% 기록시장금리 상승에 혼합형 금리 두 달 반 만에 0.5%p이상↑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2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내걸려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2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내걸려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약 2년 만에 6%대로 올라서면서 대출 문턱이 더 높아졌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는 지난 14일 기준 연 3.93~6.06% 수준이다.

4대 은행에서 6%대 혼합형 금리는 지난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이다. 두 달 보름 전인 8월 말(연 3.460∼5.546%)과 비교해 상단이 0.514%포인트(p), 하단이 0.470%p 높아졌다.

혼합형 대출의 기준이 되는 5년물 은행채 금리가 같은 기간 2.84%에서 3.40%로 뛰는 등 시장금리의 급등 때문이다. 신용대출(1등급·만기 1년) 금리도 연 3.52∼4.99%에서 3.79∼5.25%로 올라 전반적인 대출 금리 상승을 부추겼다.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기준·연 3.770∼5.768%) 역시 같은 기간 상단이 0.263%p나 올랐다. 지표금리인 코픽스는 불과 0.01%p 상승했지만 부동산·가계대출 규제가 강해지면서 은행들이 인상 폭을 지표금리 이상으로 관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금리 상승세를 한국은행과 미국 연준(Fed)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에서 찾고 있다. 특히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의 시점과 폭은 향후 데이터에 달려 있다"고 언급하자 시장에선 이를 '금리 인하 신중론'으로 해석하며 채권금리가 단기 급등했다.

대출 금리 상승은 곧 대출 한도 축소로 이어진다. 총부채원리금비율(DSR) 규제에 따라 산정금리가 높아질수록 원리금 상환액 추정치가 커지고 그만큼 대출 가능액이 줄어드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은 17일부터 지표금리인 5년물 금융채 상승폭(0.09%포인트)을 주담대 고정금리에 즉시 반영해 4.11∼5.51%로 인상할 예정이다. 다른 시중은행들도 시장금리 상승분을 주담대 금리에 순차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