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생체인증 결합한 차세대 스마트창구 구축내년 수도권 시범 운영···고령층 접근성 강화오프라인 창구 한계 넘는 'AI 행원' 기대감
농협은행은 얼굴·장정맥 기반 생체인증과 AI 음성인식 기능을 결합한 원스톱 금융거래 환경을 구축한다고 17일 밝혔다. 농협은행은 내년 상반기 수도권 점포를 중심으로 시범 설치 지점을 확정한 뒤 음성인식 고도화와 사용자 경험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농협은행에 따르면 새로운 STM은 고객의 음성을 AI가 인식해 본인확인과 조회·거래까지 처리한다. 기존 STM 대비 절차 간소화와 얼굴 인증 기능이 추가돼 안전성과 편의성이 동시에 강화됐다. 통장·카드 없이 등록된 바이오 정보만으로 거래가 가능해 고령층·금융소외계층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농협은행은 자체 구축한 생성형AI 플랫폼을 STM에 연동해 질문 대응 범위를 넓힌 것을 차별점으로 제시했다. 신한은행의 AI브랜치가 자연어 기반 오프라인 거래를 구현했지만, 얼굴인증과 생성형AI를 결합한 사례는 농협은행이 처음이다.
기존 ATM이 카드와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단순 입출금과 조회만 처리하는 기기라면 STM은 창구 업무를 자동화해 기능 범위가 훨씬 넓다. 단순 기계에 머물렀던 ATM이 '오프라인 AI 행원'으로 진화했다는 평가다.
은행권 관계자는 "강태영 행장이 취임 직후부터 추진한 농협은행의 디지털 리딩 전략이 구체화되고 있다"며 "은행 영업점 감소로 고령층 불편이 심화된 환경에서 대화형 STM이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