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금융투자사업자 추가 지정 앞두고 실사례 논의
금감원은 17일 금융투자협회와 공동으로 '기업신용공여 등 증권사 리스크관리 워크숍'을 온라인 화상회의(ZOOM) 방식으로 진행했다. 행사에는 금감원·금투협 관계자와 증권사 모험자본 공급·기업신용공여 리스크관리 업무 담당 임직원 등 150여명이 참여했다.
금감원은 올해 상반기 종투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신용공여 등 리스크관리 실태 점검' 결과를 공유했다. 심사역 개인 역량에 의존한 의사결정, 리스크관리담당 임원(CRO)의 재의요구권 미부여, 발행어음운용과 기업금융업무의 동일 본부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이해상충 우려 등이 개선 필요 사례로 제시됐다.
업계는 신용공여 유형별 리스크요인 정의, 시나리오 기반 스트레스테스트, 투자 유형별 핵심 심사 체크리스트, 산업·차주·담보 특성을 반영한 사후평가체계 등 실무 기반 모범사례를 소개했다.
아울러 '모험자본 의무 비율' 신설로 적격 투자처 발굴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중소·벤처기업 신용공여 경험이 축적된 IBK기업은행이 모험자본 공급 전략을 발표했다. 이후 업계와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금감원은 "모험자본 공급 전략과 리스크관리 모범사례 공유를 통해 증권업계의 모험자본 공급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증권사의 원활한 모험자본 공급과 리스크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문혜진 기자
hjmo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