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실마리 모색기업지배구조 개선, 시장 신뢰 회복이 관건
시장이 저평가된 원인과 개선방향을 들여다보면 근본적으로 기업의 기초체력과 주주환원 정책, 제도적인 장치의 전반적인 강화가 맞물려 작용해야 한다는 점은 명확하다.
이전에는 시장의 저평가 수준이 낮은 배당과 기업 지배구조의 문제, 낮은 수익성에서 비롯된다는 점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제기돼왔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자본비용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면서도 주주 환원에 인색하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지적돼 왔으며 이는 시장의 전체 밸류에이션 하락을 부추겼다.
여기에 지배구조는 여전히 재벌 체제 아래에서 이사회가 임원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투명성과 책임경영 측면에서 약점이 드러나 있으며 주주환원 정책이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그렇기 때문에 배당금도 적고 자사주 소각도 부족해 주주 입장에서 얻는 실익이 크지 않아 투자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특히 한국 증시의 높은 할인율(요구수익률)과 낮은 주주수익률의 괴리는 글로벌 주요국 대비 구조적인 문제로 평가되고 있다. 또 지정학적 리스크가 끊임없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원화 환율 변동성 등 금융시장 구조 문제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을 고위험으로 바라보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한다.
중요한 건 한국 기업들이 결코 성장 가능성이 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성장 동력과 혁신 역량은 분명 존재하지만 이런 구조적인 문제들이 제대로 해소되지 않으니 시장에서의 평가는 낮게 나올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최근 정부에서도 상법 개정을 포함해 주주 권리 강화, 기업의 투명성 제고, 배당 정책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사 보수에 대한 주주 권한 강화, 주주 제안권 확대, 의결권 행사 절차 개선 등 거버넌스 체제 강화를 위한 변화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단기적인 충격보다 시장 신뢰 회복과 지속 가능한 기업 성장 기반 마련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기업 본연의 경쟁력 강화와 동시에 제대로 작동하는 법과 제도를 통해 주주의 권리와 기업 책임을 명확히 해야만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불합리한 할인이 점차 해소될 수 있다. 제도 개선과 함께 혁신 투자 확대, 자본 효율성 제고, 주주 친화적인 정책이 병행될 때 한국 증시는 비로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구조적인 개선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증시가 오래도록 저평가된 것은 단순한 실적 문제만이 아니다. 저평가 문제 해소는 기업 가치의 본질적 성장과 주주 환원, 제도적 신뢰 구축의 삼박자가 맞아떨어질 때 가능하다. 현재 정부와 시장이 함께 추진하는 여러 개혁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어 그동안 묶여있던 문제들이 풀릴 가능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시장이 신뢰를 되찾고 실질적인 재평가를 받기 위해선 이런 변화들이 단기적이기보단 꾸준히 이어지는 것이 관건이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호겸 기자
hkkim82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