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바이오
亞 선진국 '일본' 시장 잡는다···K-바이오헬스 진출 러시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일본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방 줄기세포를 활용한 재생치료 사업을 시작했고, 메디포스트는 카티스템의 일본 임상3상을 진행 중이다. 의료AI 기업들도 활발히 진출하고 있으며, 일본의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 증가는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총 90건 검색]
상세검색
제약·바이오
亞 선진국 '일본' 시장 잡는다···K-바이오헬스 진출 러시
국내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일본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방 줄기세포를 활용한 재생치료 사업을 시작했고, 메디포스트는 카티스템의 일본 임상3상을 진행 중이다. 의료AI 기업들도 활발히 진출하고 있으며, 일본의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 증가는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루닛, 자회사 볼파라에 크레이그 헤드필드 신임 CEO 선임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자회사 볼파라 헬스(이하 볼파라)의 신임 최고경영자(CEO)로 크레이그 헤드필드 전 볼파라 최고고객재무책임자(CCFO)를 선임했다고 26일 밝혔다. 헤드필드 신임 CEO는 오는 4월 1일부터 볼파라를 이끌게 된다. 헤드필드 신임 CEO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University of Witwatersrand)에서 회계 및 재무학 학사와 회계 전문가 과정(Accounting Higher Diploma)을 거친 공인회계사다. 지난 2016년
제약·바이오
루닛, 해외 매출 124% ↑···"美 진출·빅파마 협업 영향"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542억원을 달성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251억 원 대비 116% 증가한 수치다. 작년 4분기 매출은 2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1.3%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677억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매출액에 대비한 손실 비율은 전년 1.7배에서 1.25배로 개선됐다. 루닛의 매출 성장은 볼파라 헬스(이하 볼파라)를 통한 북미시장 진출과 암 치료 분야 대표 제품인 루닛 스코프의 빅파마 협업이
제약·바이오
[트럼프 시대, 제약바이오 미래]④ AI 접목 '신약·의료' 니즈 지속
2025년 1월 20일(현지시간) 미국 47대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시대가 열린다. 트럼프의 더 강력해진 '아메라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에 맞춰 글로벌 산업계도 생존 전략을 마련하는 모습이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또한 트럼프 공약에 맞춰 대미 정책을 변경하고 있다. 트럼트 2기 시대를 앞두고 약가 인하·대중국 필수 수입품 금지 등에 따른 기대감과 강력한 관세정책, 공보험 분야 축소 등의 불안감이 공존하고 있는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현실과 과제
제약·바이오
에이아이트릭스, 'AI 기반 사망·패혈증 예측 솔루션' 복지부 NET 인증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에이아이트릭스는 보건복지부 지정 보건신기술(NET) 인증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 보건신기술은 국내 최초로 개발된 보건 분야 신기술을 발굴하고 그 우수성을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다. 에이아이트릭스는 환자 상태 악화 예측 솔루션 AITRICS-VC(바이탈케어)에 사용된 '사망 및 패혈증 예측을 위해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신기술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NET 인증을 획득한 '사망 및 패혈증 예측
제약·바이오
제이엘케이, '두개내출혈 검출 AI 솔루션' 美 FDA 허가
의료 인공지능(AI) 1호 상장기업 제이엘케이는 지난해 미국 FDA(식품의약국) 인허가를 신청했던 JLK-ICH(두개내출혈 검출 솔루션)가 보완사항 없이 승인(FDA 510(k))을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이미 한 해 동안 전립선암 솔루션 1개 획득에 이어 뇌졸중 솔루션에서만 3개 솔루션(JLK-LVO, JLK-CTP, JLK-PWI)의 승인을 획득한 제이엘케이는 이번 승인이 전체 5번째 FDA 획득이다. 특히 뇌졸중 분야에서만 4개 솔루션
제약·바이오
루닛 AI 솔루션, 응급환자 분류시간 77% 단축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의료기관의 실제 응급 환경에 '루닛 인사이트 CXR'을 활용하면 응급환자 분류에 필요한 시간이 77% 줄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유럽 영상의학저널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IF 3.2)'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싱가포르 창이 종합병원 스리나스 스리다란(Srinath Sridharan) 박사 연구팀은 지난 2023년 8월부터 12월까지 병원 응급실에서 촬영한 총 2만944건의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루닛 AI 솔루션을 활용해 정상, 비응
제약·바이오
뷰노, 237억원 영구 전환사채 발행···"법차손 해결, R&D 가속화"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는 이사회를 통해 칼립스 캐피탈을 대표 주관사로 하는 237억원의 사모 영구 전환사채 발행을 결의했다고 24일 공시했다. 해당 영구 전환사채는 지난 3월 발행한 104억원의 영구 전환사채와 동일하게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된다. 뷰노는 이번 영구 전환사채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글로벌 비즈니스 기반 확충에 우선 사용할 예정이다. 특히 세계 최대 의료기기 시장인 미국에서 주력 제품군을 중심으로 임상, 허가부터 실제 매
제약·바이오
루닛, 주요 임원 '블록딜' 여파로 주가 10% ↓···창업주·대표이사 장내매수로 방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의 창업주 백승욱 의장과 서범석 대표이사가 18일 총 6억원 규모의 회사 주식 7747주를 장내매수했다. 앞서 일부 임원들의 시간외매매(블록딜) 여에 따른 주가 하락에 대응하고 주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이날 루닛의 주가는 10.26% 하락한 7만 5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회사 임원 및 주요주주 7인이 일부 주식을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며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공시에 따르면, 옥찬영 최고과학책임자(CMO), 이정
제약·바이오
트럼프 시대, 美 바이오헬스 전망은···"M&A 거래 증가할 듯"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인수합병(M&A) 시장이 내년부터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글로벌 회계·경영 컨설팅기업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최근 발간한 연례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M&A 현황 및 전망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의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M&A 거래 가치와 거래량은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다. 올해 11월 15일까지를 기준으로 미국 바이오헬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