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8일 월요일

서울 33℃

인천 33℃

백령 27℃

춘천 33℃

강릉 31℃

청주 33℃

수원 32℃

안동 34℃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33℃

전주 35℃

광주 33℃

목포 32℃

여수 32℃

대구 35℃

울산 34℃

창원 33℃

부산 33℃

제주 31℃

MZ세대 검색결과

[총 109건 검색]

상세검색

일본·대만이 뜬다···MZ세대가 꽂힌 술은

식음료

[민지야 놀자]일본·대만이 뜬다···MZ세대가 꽂힌 술은

경기 침체와 소비 감소로 국내 프리미엄 위스키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된 가운데, 일본과 대만산 위스키 및 사케가 수요가 늘고 있다. 국내 주류 시장은 기존 전통주 위주의 소비에서 신흥 수입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는 모양새다. 전통 주류업체 하이트진로는 주류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나섰고, 골든블루는 대만 위스키 중심의 성장세가 뚜렷하다.

M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털실 화장법

shorts

[저스트원미닛]M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털실 화장법

국내 인플루언서 사이에서 신기한 화장이 유행입니다. 틱톡커 애나 머피가 처음 유행시킨 일명 '털실 화장법'이 최근에 국내에도 넘어온 건데요. 먼저 얼굴에 접착제를 꼼꼼히 바르곤 털실을 붙입니다. 이때 콧구멍까지 털실을 감아야 하죠. 그러고는 털실 위에 원하는 색상의 화장품을 발라줍니다. 보통은 화려한 느낌으로 연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피부에 상당히 무리가 가는 화장이기도 한데요. 유튜버 '아람이'가 도전했을 때도 팬들은 피부

"대화는 DM, 선물은 카톡"···MZ 잡은 카카오 '커머스' 날개

인터넷·플랫폼

"대화는 DM, 선물은 카톡"···MZ 잡은 카카오 '커머스' 날개

"친구들과의 소통은 카카오톡보다 다이렉트메시지(DM)을 통해 하는 편이에요. 그런데 DM에는 선물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보니, 다들 기념일 선물은 카카오톡 선물하기로 챙깁니다." -20대 여성 A씨 카카오톡 선물하기 등에서 쓰이는 커머스(전자상거래) '선불충전금' 규모가 1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3배 넘게 확대된 수준이다. 인공지능(AI) 기반 기능으로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주요 소비층인 2030세대 고객 저

MZ세대, 규제 개혁도 실용적으로···안전·공정부문은 강화해야

일반

[제2회 뉴스웨이 비전포럼]MZ세대, 규제 개혁도 실용적으로···안전·공정부문은 강화해야

MZ세대는 규제 개혁에 대해 유연하고 다면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무조건적인 규제 철폐 혹은 강화보다는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특히 시장경제의 자유와 혁신 부문에서는 '규제 완화'를, 공정성이나 안전 부문은 '규제 강화'를 지향했다. 배관표 충남대 국가정책대학원 교수는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동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2회 뉴스웨이 비전 포럼-한국경제의 미래, 누가 가로막는가' 패널토론

"시대착오적 대기업 차별, 제 역할 못해···이젠 손봐야"

산업일반

[창간12주년 특집|한국경제, 누가 가로막나]"시대착오적 대기업 차별, 제 역할 못해···이젠 손봐야"

기업 규모별로 차등 규제하는 '대기업 차별 규제' 일부가 개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소비자와 소상공인·중소기업 등 약자 보호 차원에서는 여전히 긍정적이나, 일부 조항은 제정된 지 20년도 넘어 현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이유다. 특히 대기업의 자유로운 시장 경쟁을 제한해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지는 일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대기업 차별 규제, 정말 필요한가? 뉴스웨이가 창간 12주년을 맞아 미래 세대 205여명에

불량 규제가 기업 성장 좀먹는다

산업일반

[창간12주년 특집|한국경제, 누가 가로막나]불량 규제가 기업 성장 좀먹는다

한국경제를 이끌어 갈 젊은 직장인들은 우리나라의 기업 규제 수준이 주요 선진국보다 높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들 중 셋에 하나는 이대로라면 앞으로 20년 후 제2의 삼성이나 SK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진단, 점차 세계 속에서 도태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기업 규제, 선진국보다 높아! 뉴스웨이가 창간 12주년을 맞아 미래 세대 205명에게 물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이들은 미국·영국·독일·일본 등 선진국이나 싱가포르 같은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