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T ENS의 법정관리와 현대상선 등급의 투기등급 강등으로 회사채시장이 위축되고 있어 한계기업들은 자금 조달에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건설사 24곳의 회사채 만기 도래액은 5조2290억원으로 이 중 24.1%인 1조2600억원이 다음달에 만기가 돌아온다.
월별로 보면 다음달 만기 도래액이 가장 크다. 만기 도래가 두 번째로 많은 이달 7827억원보다도 4773억원이 더 많은 규모다.
회사별로 살펴보면 롯데건설(A+·3500억원), 삼성물산(AA-·3000억원), 한화건설(AO·2600억원), GS건설(A+·2000억원) 등의 물량이 예정돼 있다.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두산건설(BBB+·250억원)과 코오롱글로벌(BBBO·200억원) 등의 회사채 만기도 돌아온다.
문제는 작년 STX·동양 사태로 얼어붙은 회사채시장이 올해 들어서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량등급과 비우량등급 간 양극화로 A등급 이하의 회사채의 수요는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최근 모기업의 지원 거부로 법정관리에 들어간 KT ENS 사태는 회사채시장의 분위기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KT는 자회사 문제로 인해 5000억원의 회사채 발행을 철회한 상태고 KT의 일부 자회사들의 신용등급 하향 우려도 이어지고 있다.
모기업의 지원 가능성에 대한 불신이 시장에 퍼지면서 자금 조달은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한국복합물류(BBB+등급)는 모회사 CJ 대한통운(AA-)의 보증으로 AA-등급으로 회사채를 발행하려고 했지만 500억원 모집에 300억원만 수요예측에 참여했다.
여기에 현대그룹의 주요 계열사인 현대상선과 현대엘리베이터, 현대로지스틱스의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인 ‘BB+’로 하향된 점도 회사채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GS건설은 다음 달 4일 만기가 돌아오는 2000억원의 회사채를 차환하지 않고 현금으로 갚기로 했다.
앞으로의 상황도 여의치 않아 건설사의 회사채 발행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 축소와 중기적인 금리 상향 조정이 건설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박지은 기자 pje88@
관련태그

뉴스웨이 박지은 기자
pje8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