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주택분양시 초기 계약금 비중 줄고 중도금 늘고

주택분양시 초기 계약금 비중 줄고 중도금 늘고

등록 2015.08.25 13:31

수정 2015.08.25 14:18

김성배

  기자

공유

국토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전부개정안 입법예고

이르면 오는 11월 말부터 주택을 분양받을 때 계약금이 10%보다 적을 때는 중도금을 70%까지 낼 수 있게 된다. 주택 청약시 중도금 대출을 기존 60%에서 70%까지 더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또 지방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에 대한 주택 특별공급 기한이 올해 말에서 2018년까지로 3년 연장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전부개정안이 오는 11월 말~12월 초에 시행된다고 25일 밝혔다.

우선 아파트 등 주택 청약시 총 분양금 납부비율 중 중도금을 최대 70%로 10%포인트 확대했다. 현재 분양주택 입주금은 계약금 20%, 중도금 60%, 잔금 20% 비율로 낸다.

그동안은 중도금이 최대 60%로 돼 있어 최대 20%인 계약금을 건설사들이 10%나 정액제로 낮출 경우 나머지는 잔금으로 돌려야해 입주자들의 부담이 컸다. 이는 입주율을 떨어트려 건설업계 자금난을 키우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산업단지 내 입주기업·연구기관·의료기관 근로자에게 주택이 특별공급된다. 1가구 1주택 기준으로 직원 숙소로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된다. 평택 이전 미군기지 내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주택 특별공급도 이뤄진다.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에 대한 주택 특별공급 기한이 2015년에서 2018년까지 3년 연장된다. 오는 2016~2018년에도 이전하는 기관이 있어 이를 반영했다.

저소득층의 공공임대주택 입주요건이 세분화된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개정돼 수급자가 생계·의료·주거·교육 등 7개 급여 수급자로 세분화됐다.

이에 따라 영구임대주택에는 생계·의료급여 수급자가 입주할 수 있다. 국민임대주택 입주자는 차상위계층에 속한 자로 하되 주거·교육급여만을 받는 수급자가 포함된다.

이 밖에 주택공급규칙이 ‘주택공급 절차 및 업무흐름’에 따라 전부개정된다. 이에 따라 주택공급규칙은 입주자저축-입주자 모집 및 주택공급 신청-주택공급 방법-입주자 선정 및 공급계약-공공주택 공급 특례로 구성된다.

주택공급규칙은 지난 1995년 2월 전부개정 이후 81차례 일부 개정만 이뤄져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개정안은 오는 26일 관보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www.molit.go.kr) 정보마당-법령정보-입법예고에서 볼 수 있다.

김성배 기자 ksb@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