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4개월짜리 내수 진작 정책 한계···소비절벽 현실화되나

4개월짜리 내수 진작 정책 한계···소비절벽 현실화되나

등록 2015.12.30 09:49

수정 2015.12.30 09:50

현상철

  기자

공유

소매판매 4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소비심리도 하락세···내년 소비절벽 현실화

4개월 동안 상승하던 소비가 급감했다. 정부의 각종 소비진작 정책이 빛을 발하던 10월 소매판매는 57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지만,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반전됐다.

이미 내년 소비몫까지 끌어다 쓴 상황에서 12월 소비심리까지 급격히 얼어붙으면서 내년 소비가 고꾸라지는 소비절벽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1.1%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가 거셌던 6월 -3.4%로 급감한 뒤 7월(2%)부터 4개월 연속 상승했다. 10월에는 2011년 1월(4%) 이후 5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인 3.2%를 기록했었다.

반면, 11월 소매판매는 내구재(-0.3%), 준내구재(-3.5%), 비내구재(-0.5%)가 모두 줄었다. 준내구재는 의복이나 신발, 가방 같은 상품이고, 내구재는 승용차·가전제품 등 주로 고가의 상품을 말한다. 비내구재는 음식료품·차량연료·화장품 등이다.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등 정부의 소비진작 정책이 정점에 달했던 10월 이후 소비가 급감하는 소비절벽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셈이다.

이번 소비위축은 내년 1분기에 닥칠 소비절벽의 전초전에 불과할 수 있다.

한국은행의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3으로 전월보다 3포인트 떨어지면서 5개월간 이어가던 상승세를 꺾어버렸다.

또 생활형편, 소비지출, 향후경기, 취업기회, 주택가격전망 등은 전월보다 최소 2포인트에서 최대 11포인트까지 떨어졌다. 반대로 금리수준(전월대비 4), 가계부채(1), 물가수준전망(2)은 1~4포인트 올랐다.

이미 승용차, 가전제품, 의복·가방 등 내년 소비를 10월까지 끌어다 쓴 상황에서 취업·가계부채 등에 억눌려 경제심리까지 얼어붙고 있다는 얘기다.

한편, 올해 우리경제 성장을 견인한 소비가 당장 내년 악재로 돌변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소비를 메워줄 수출과 투자는 부진한 상황이다.

11월 전산업생산은 전달보다 0.5%감소하면서 2개월째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출부진으로 산업생산 핵심인 광공업생산이 감소한 영향이다. 10월 0.7%떨어졌던 설비투자는 11월 6% 하락하면서 감소폭이 확대됐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