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25∼29세 경제활동 참가율은 76.7%다. 칠레와 더불어 회원국 35개국 중 공동 31위를 기록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 등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을 뜻한다.
OECD 평균 20대 후반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80.5%로 한국보다 3.8%포인트 높다. 1, 2위를 차지한 스위스(90.9%), 아이슬란드(90.1%)는 90%대에 달한다. 3위인 일본(88.0%)도 한국보다 11.3%포인트나 높다.
한국의 30∼34세 경제활동 참가율은 77.7%였다. 20대 후반 경제활동 참가율보다 소폭 올랐지만, 순위는 꼴찌에서 4번째인 32위다. OECD 평균은 82.0%로 나타났다.
슬로베니아(93.6%), 룩셈부르크(93.1%), 포르투갈(92.1%), 스위스(91.5%), 스웨덴(90.7%), 아이슬란드(90.6%) 등 상위 6개국은 모두 이 연령대 경제활동 참가율이 90%를 넘는다.
고령층에서는 반대 양상이 나타난다.
한국의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1.5%다. 아이슬란드(40.6%)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OECD 평균인 14.5%의 2배에 달한다.
경제활동 참가율이 청년층에선 낮고 고령층에서 높은 것은 청년층의 취업 시장 진입이 어렵고 고령층은 일자리를 떠나기 어려운 상황이 겹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 남성은 군 복무 때문에 다른 국가보다 사회 진출 시기가 늦다. 여성들은 20대 후반, 30대 초반에 육아, 가사에 전념하느라 경제활동을 손 놓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최근 청년 취업난도 영향을 끼쳤다.
최근 경제활동 인구로 잡히지 않는 청년이 늘고 있다. 교육·훈련 등으로 경제활동 진입을 최대한 늦추고 공무원 시험에 매진하는 '공시생'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고령층은 은퇴 후에도 생계형 창업을 하거나 단순·노무직으로 재취업하는 경우가 많다. 노동시장에서의 이 같은 현상은 인구 노쇠화로 이어져 생산성 저하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우려가 제기된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일·가정 양립 문제, 노인 빈곤 등 사회복지 문제가 같이 얽혔고 최근 청년층 취업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까지 겹친 것”이라며 “장기적인 시각에서 사회복지 시스템을 정비해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전규식 기자
cardi_ava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