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3월 29일 토요일

  • 서울 2℃

  • 인천 3℃

  • 백령 2℃

  • 춘천 3℃

  • 강릉 2℃

  • 청주 3℃

  • 수원 3℃

  • 안동 4℃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4℃

  • 전주 3℃

  • 광주 3℃

  • 목포 3℃

  • 여수 6℃

  • 대구 6℃

  • 울산 8℃

  • 창원 7℃

  • 부산 8℃

  • 제주 5℃

라이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라이프 리빙 카드뉴스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등록 2025.03.26 13:53

이성인

  기자

공유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다이소 영양제,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 정리 기사의 사진

최근 다이소 영양제가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핫키워드가 됐습니다. 3000~5000원대의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기존 영양제들에 강력한 위협이 되고 있는 것인데요.

가성비가 좋다는 점에서는 주목받고 있습니다만, 가격이 전부는 아닐 수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먹는 것인 만큼 제품 유형과 성분 함량을 명확히 살펴보고 구매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이런 기준에 따라 다이소 영양제 중 추천 제품과 비추천 제품을 정리해봤습니다.

◇ 추천 제품

▲마그네슘 (건강기능식품) = 산화마그네슘과 비타민 D로 구성돼 원료 배합이 좋습니다. 단, 산화마그네슘은 복통 및 변비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죠.

▲바나바잎 추출물(건강기능식품) =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도움을 주는 성분(여기 이런 색 비슷하게 실제 음영)으로, 코로솔산이 최대용량으로 들었습니다. 크롬과 비타민 D도 함유돼 있어 배합이 좋다는 평입니다.

▲철분(건강기능식품) = 철분 성분 외에 셀린, 비타민 C, 비타민 D 등이 고르게 들어 있어 입문자에게 추천할 만한 제품입니다.

◇ 비추천 제품

▲콜라겐(일반식품) = 당류가공품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지 못한 일반식품이며, 콜라겐 함량도 300mg으로 일일 권장량에 미치지 못합니다.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식약처에서 피부 개선 기능성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 하루 권장량(1,000mg)을 충족하는 제품을 찾는 게 바람직.

"제조사 자체 연구개발로 기능성을 인정받은 개별인정형 원료를 사용한 제품의 경우 섭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맥주효모 비오틴 (일반식품) = '당류가공품'입니다. 즉,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식품으로 분류되죠. 성분도 매우 소량 함유돼 있어 체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정도입니다.

▲콘드로이친(일반식품) = 일반식품입니다. 단순히 함량보다는 순도와 원료를 계산해야 하는데요. 저가형 제품은 함량에 비해 원료가 적게 들어 있어 1일 권장량인 1200mg에서 훨씬 부족한 양이 들어있습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Good(추천) = 건강기능식품&적절한 함량과 원료의 배합. ▲Bad(비추천) = 일반식품&1일 권장섭취량 부족. 특히 일반식품에는 당류가공품, 기타가공품, 캔디류 등이 포함됩니다.

다이소 영양제 중 추천/비추천 제품을 살펴봤는데요. 다이소 영양제 덕에 소비자가 가격 합리성과 높은 접근성을 확보하게 된 건 사실입니다. 단, 기능성을 인정받지 못한 일반식품도 많다는 사실.

건강에 도움을 받고 싶어서 먹는 것이라면 가볍게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맞는 기준을 충족하는지 꼼꼼하게 따져보고 구매하는 게 좋겠죠?(카드뉴스 표 참조)

건강은 지금부터 지켜야 합니다. 내 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더욱 행복한 2025년 보내시길 바랍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