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8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감원 “남은 DLF 분쟁, 은행이 자율 조정···배상비율 하한 20%”

[일문일답]금감원 “남은 DLF 분쟁, 은행이 자율 조정···배상비율 하한 20%”

등록 2019.12.05 18:06

차재서

  기자

공유

금융감독원.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금융감독원.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금융감독원이 대규모 손실로 논란을 빚은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DLF) 사태’와 관련해 은행에 투자자 손실액의 40~80%를 배상토록 했다고 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은행은 금감원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배상 계획을 세운 뒤 투자자와 자율 조정을 진행하게 된다. 실패 시 분쟁조정을 다시 신청할 수 있고 소송 중인 경우 1심 판결 전 이를 취하하면 금감원의 분쟁조정 절차를 밟을 수 있다.

이번 분쟁조정은 지금까지 금감원에 접수된 분쟁조정 민원 276건 중 대표성 있는 사례 6건(KEB하나은행·우리은행 각 3건)을 추려 심사한 결과다.

특히 금감원은 배상비율의 상한을 80%, 하한을 20%로 각각 설정했다.

다음은 금감원 관계자와의 일문일답

▲피해자는 6가지 분쟁조정 유형 중 자신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알 수 있나
-금감원이 기준을 전달하면 은행은 배상계획을 세워 피해자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각각은 자신이 어디에 해당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피해자 유형이 따로 나뉘는 것은 아니며 개별적으로 조정을 거치기 때문에 은행이 최종 통보하게 된다.

▲남은 분쟁조정은 어떻게 진행되나
-은행에서 배상 기준을 마련해 자율조정 방식으로 진행된다. 투자자가 배상 기준에 불만을 가져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금감원이 다시 분쟁조정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투자자의 자기 책임 사유는 어느 정도로 반영됐나
-투자자 자기 책임 요소는 투자 경험과 나이 등을 반영했다. 가감 비율에 차이가 있어 구체적으로 말하긴 어렵다. 이번 분쟁조정에선 배상비율의 상한을 80%으로 설정하는 한편 처음으로 하한을 20%로 뒀다.

▲200건 이상 분쟁조정이 남았는데 이들도 30%의 이상의 배상비율이 적용되나
-투자자 상황에 차이가 있어 모두 그렇다고 볼 수는 없다. 다만 불완전판매가 인정되는 경우 30%의 배상비율이 적용된다.

▲손실이 확정되지 않았다면 배상은 어떻게 이뤄지나
-내년 가을이면 모든 상품의 만기가 돌아오는데 그 이후 은행이나 금감원에 조정을 신청하면 된다. 소송을 제기한 투자자는 분쟁조정 대상이 아니며 1심 판결 전 소송을 취하하면 분쟁조정을 신청할 수 있다.

▲사법당국의 수사 결과에 따라 배상비율이 높아질 수도 있나
-사법당국에서 사기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데 사기나 계약 취소 사유에 해당한다면 100%를 보상해줘야 한다. 그래서 분쟁조정서에도 다시 소송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명시했다.

▲본점 내부 통제 부실에 대한 책임을 물은 이유는
-합동조사 결과 상품 출시에서 판매까지 전 과정에서 심각한 내부 통제 부실이 발견됐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은행이 완전판매 관행을 세우고 투자자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길 바란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