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법정 가는 남양유업 매각···소송전 향방은

법정 가는 남양유업 매각···소송전 향방은

등록 2021.09.01 11:59

정혜인

  기자

공유

‘계약 이행 vs 계약 해제’ 놓고 소송 돌입홍원식, ‘단순 변심’ 아니라는 사실 입증해야‘무리한 요구’냐 ‘이면계약’이냐···합의 여부 쟁점한앤컴퍼니가 유리하나 소송 장기화 할수록 불리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남양유업 매각이 100여일 만에 결국 무산되면서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과 한앤컴퍼니의 소송전이 시작됐다. 최근 한앤컴퍼니가 홍 회장 측을 상대로 계약을 이행하라는 소송을 제기한 데 이어 이번에는 홍 회장 측이 계약을 해제하겠다고 한앤컴퍼니에 통보하며 맞불을 놓으면서다.

소송전 향방은 홍 회장이 ‘단순 변심이 아니다’라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특히 계약 외의 ‘추가 요구사항’을 두고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는데, 이 요구사항의 존재와 이행 여부가 향후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은 1일 계약 상대방인 한앤컴퍼니를 상대로 주식매매계약 해제를 통보했다고 법률대리인인 LKB앤파트너스를 통해 밝혔다.

앞서 한앤컴퍼니는 지난달 말 홍 회장 측에 대해 주식처분금지 가처분신청을 제기한 데 이어 거래종결 이행을 촉구하는 소송을 냈다. 한앤컴퍼니는 계약을 이행하라고 요구하는 반면 홍 회장은 계약을 해제하겠다고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한앤컴퍼니는 홍 회장의 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을 내 법원의 인용을 받았다. 양측이 첨예하게 대립하며 소송전이 시작된 만큼 소송이 끝날 때까지 홍 회장이 주식을 처분하지 못하도록 법원이 명령한 것이다. 이에 따라 홍 회장은 이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새 인수자를 찾을 수 없게 됐다. 홍 회장은 “분쟁 종결 즉시 재매각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소송전은 ‘계약 해지 사유’가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홍 회장이 단순 변심으로 계약을 불이행하겠다는 것인지, 또는 계약을 해지할 만하다고 납득할 사유가 있는지가 관건이다. 즉 계약 해지의 책임이 홍 회장과 한앤컴퍼니 중 어느 쪽에 있는지가 관건이라는 의미다.

관련업계에서는 한앤컴퍼니가 더 유리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홍 회장이 1일 입장문을 통해 자신이 계약을 해지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했으나 그 이유들이 모두 석연치 않기 때문이다. 홍 회장 측은 한앤컴퍼니가 ▲비밀유지의무 위배 ▲신뢰 훼손 ▲부당한 사전 경영 간섭 ▲사전 합의사항 이행 거부를 했다는 입장이다. 관련업계는 이들 이유 대부분이 계약 파기까지 갈 사안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다만 양측의 입장이 크게 엇갈리는 대목인 ‘사전 합의사항 이행’ 여부는 향후 소송전에서 쟁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한앤컴퍼니는 ‘홍 회장이 무리한 요구를 남발한다’는 입장인데, 이에 대해서도 홍 회장은 ‘이미 쌍방간 합의된 것을 한앤컴퍼니가 이행을 거부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즉 실제로 양측이 합의한 계약서 외에 다른 ‘요구사항 또는 합의사항’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이미 관련업계에서는 한앤컴퍼니가 최근 입장문을 통해 ‘홍 회장이 무리한 요구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이면계약이 존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홍 회장은 양측이 합의를 한 이면계약이 존재한다는 입장이며, 한앤컴퍼니는 이면계약이 아니라 홍 회장이 계약 외의 무리한 요구사항을 추가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셈이다. 이 ‘사전 합의사항 또는 무리한 추가 요구사항’이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홍 회장이 두 아들의 직위 유지를 요구했다는 설, 남양유업의 외식 브랜드 ‘백미당’을 회사 매각에서 제외하려고 했다는 설 등이 거론된다.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이든간에 실제로 홍 회장 주장대로 양측이 합의한 내용인지, 한앤컴퍼니 주장대로 홍 회장의 일방적인 요구인지에 따라 소송전의 승패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법조계에서는 홍 회장이 ‘계약서 외에 합의한 사항이 있다’는 주장을 입증할 수만 있다면 소송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법조계 관계자는 “구두 합의 등 양측의 이면계약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법적 효력이 있다”며 “이를 입증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소송 결과가 단기간 내에 나오지 않는다는 점은 한앤컴퍼니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단건 M&A에 시간과 인력 등 많은 에너지를 쏟는 것도 비효율적이며 평판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소송이 길어진다는 것이 홍 회장에게는 오히려 ‘호재’일 수 있다. 소송이 길어지면 자연스럽게 경영을 지속한 후 추후 소송 결과에 따라 회사를 매각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