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손보 DNA' 이식하는 삼성생명 홍원학, 친정서 새 역사 쓸까

금융 보험

'손보 DNA' 이식하는 삼성생명 홍원학, 친정서 새 역사 쓸까

등록 2024.08.19 16:11

수정 2024.08.19 16:19

김민지

  기자

공유

상반기 순이익 전년比 40.5%↑···삼성화재 뛰어 넘어건강보험 포트폴리오 확대···지난해 31%→올해 54%GA보다 전속채널 강화···연말 실적도 화재 앞지를 듯

그래픽=홍연택 기자그래픽=홍연택 기자

삼성생명이 홍원학 사장 취임 후 본격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면서 올해 상반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홍 사장이 삼성화재 대표 시절 취임 첫해인 2022년부터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며 실력을 입증한 인물인 만큼 삼성생명에도 '손보 DNA'를 이식해 친정에서도 신기록을 쓸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상반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1조3685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40.5% 증가했다. 이는 새 회계기준인 IFRS17 도입 이후 최대 실적이다.

삼성생명은 이번 반기 순이익에서 삼성화재도 앞질렀다. 삼성화재의 반기 순이익은 1조3140억원이었는데 이보다 550억원 앞선 것이다. 삼성생명이 반기 순이익에서 삼성화재보다 높은 성적을 낸 것은 2022년 이후 2년 만이다.

삼성생명의 호실적은 내부적으로든 보험업계 전체로든 고무적일 수 밖에 없다. 그간 생명보험사들은 IFRR17 도입을 준비하며 실적 부침을 겪어왔기 때문이다. IFR17에서는 보험계약마진(CSM)이 높을수록 순이익도 증가한다. 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부채로 인식되는 저축성보험보다 보장성보험이 CSM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 생보사들의 상품은 비중은 보장성보험보다 저축성보험이 높아 CSM 확보에 불리하게 여겨졌다.

이에 삼성생명은 홍 사장 체제로 들어선 이후 '제3보험'으로 포트폴리오 전환을 가속화했다. 제3보험은 생·손보사가 모두 취급할 수 있는 상품으로, 질병이나 상해 또는 병간호를 보장하는 보험이다. 질병보험이나 암보험, 간병보험 등이 이에 속한다.

실제 상반기 삼성생명의 신계약 CSM 비중을 살펴보면 건강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상반기 31%에서 하반기 42%, 올해 상반기 54%로 계속해서 늘었다. 상반기 건강보험 신계약 CSM은 89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6% 증가했다. 반면 사망보험의 신계약 CSM은 전년 동기 대비 41.6% 감소한 63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주경 삼성생명 경영지원실장(CFO)은 상반기 실적 컨퍼런스콜(IR)에서 "작년 하반기 이후 고수익 건강상품 판매 확대 기조의 상품 포트폴리오 전략을 가져가고 있고 그 결과 신계약 CSM 내 건강 담보의 비중은 지속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생명은 전속채널도 더욱 강화했다. 올 상반기 삼성생명의 전속 설계사 수는 3만2738명으로 전년 말보다 2000명 이상 증가했다. 이는 10여년 전 생보업계가 활황일 당시와 비슷한 수준이다. 경기 하락으로 인한 인력 시프트가 보험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생명은 리쿠르팅을 통해 이런 인력들을 흡수해 월 1000명정도를 재적하고 있다.

김종민 CPC기획팀장은 "법인보험대리점(GA) 쪽의 인당 생산성을 비교했을 때 약 20만원 정도를 판매한다고 보면, 전속 설계사는 50만원 이상의 수익성을 내고 있다"며 "삼성생명은 GA 쪽의 전략은 채택하지 않고 전속 채널 전략을 더욱 굳건히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홍 사장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광고에서도 삼성화재의 '보이는 보험' 전략을 그대로 가져왔다. 삼성생명은 지난 6월 신규 광고캠페인 '보험을 넘어서는 보험'을 론칭했는데, 삼성생명의 신규 광고들 역시 소비자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상품인 광고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끔 하도록 홍 사장이 지시를 내렸다는 후문이다.

다만 삼성생명의 이익증가는 본업인 보험손익보다 투자손익이 이끌었다는 점이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상반기 기준 삼성생명의 투자손익은 1조1127억원으로 124.4%나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보험손익은 13% 감소한 7118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2분기 보험손익이 4440억원으로 IFRS17 도입 이후 분기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는 것은 긍정적이다.

업계는 현재 추세대로라면 올해 연간 실적에서도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앞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보험 신계약 측면에서는 영업 사이클적으로 설계사들이 연말에 가까워질수록 집중을 많이 하는 시기인 데다, 법인 명의로 가입하는 큰 금액의 보험 가입이 몰리기 때문이다. 손보사들은 이런 고액 계약이 어렵다 보니 생보사가 더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이 CFO는 "투자손익 증가는 보험부채 부담이율 하락으로 부담 이자가 감소하고 자산 다변화에 따른 수익증권, 배당 수익 및 카드, 증권 등 연결 자회사 이익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다"며 "보험손익은 향후에도 양질의 신계약 확보와 철저한 효율 지표 관리를 통해 순증 기조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민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