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이상조 한켐 대표 "실적으로 주주에게 증명하는 기업 될 것"

증권 IPO IPO레이더

이상조 한켐 대표 "실적으로 주주에게 증명하는 기업 될 것"

등록 2024.09.26 13:16

수정 2024.09.26 14:19

김세연

  기자

공유

상장 후 6개월 유통가능 물량 67.36%매년 지속 성장하는 모습으로 신뢰줄 것

사진 = 김세연 기자사진 = 김세연 기자

"전방산업 성장으로 연평균 성장률 22.6%로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매년 실적 증가를 달성해 기업 가치를 높이고 주주에게 보답하겠습니다" (이상조 한켐 대표)

이상조 한켐 대표는 26일 서울 여의도 세상의아침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간담회 자리에서 오버행(대규모 매도 물량) 우려에 대해 이 같이 밝혔다. 동시에 향후 비전과 계획을 발표했다.

1999년 설립된 한켐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를 비롯해 촉매 소재, 의약 소재 등 유기화합물을 임상시험수탁(CRO) 방식으로 생산하는 전문기업이다. 25년간 견조한 외형성장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켐은 신영증권을 주관사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이번 상장에서 160만주를 전량 신주로 공모한다. 희망 공모가는 1만2500원~1만45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200억원~232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는 24일~25일 양일간 일반 청약을 거쳐 10월22일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다만 흥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켐 상장 이후 유통가능물량은 발행 총수의 35.80%에 해당하는 287만3757주다. 상장 1개월 후에는 발행주식 총수 12.91%에 해당하는 103만6468주가 풀리고, 3개월 후에는 0.60%에 해당하는 4만8000주, 6개월 후에는 18.05%에 해당하는 144만9217주가 유통 가능한 물량으로 6개월 뒤 총 67.36%가 주식 시장에 풀린다.

이에 대해 박남덕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상장 6개월 이후 물량에 대한 우려를 인식하고 있다"며 "수급은 저희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실적은 저희가 보여줄 수 있는 지표로 꾸준히 기업 가치를 높여 주주들의 신뢰에 대해 보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가 추정하는 올해 매출액은 300억원이 넘을 것"이라며 "현재 8월까지 지난해 매출액(270억원) 수준인 260억원을 기록 중이다"고 강조했다.

실제 흑자 기조를 지속 유지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한켐은 ▲데이터베이스(DB) 기반 개발시스템 구축 ▲특화된 양산화 공정 개발 능력 ▲안정적인 단계별 매출 구성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OLED 소재를 주축으로 촉매소재, 전자 및 에너지 소재 등 주요 첨단소재 사업을 영위하며 지난해 기준 매출액 중 OLED 소재는 77.3%, 기타소재 12.6%, 촉매 소재 10.1%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오랜 업력을 통해 구축한 자체 DB 관리 시스템은 동종 업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팔라듐 촉매 반응, 극저온 반응 등 다양한 합성반응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했다. 약 6000여건 이상의 반응 데이터와 약 8600여 건의 샘플 데이터도 확보돼있다.

이에 영업이익 ▲2021년 28억원 ▲2022년 36억원 ▲2023년 50억원으로 증가 추세며, 당기순이익 역시 ▲2021년 25억원 ▲2022년 31억원 ▲2023년 41억원으로 증가했다. 2022년 부터는 매출액 200억원 이상을 달성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향후 OLED 소재시장 성장을 본격화해 이익 성장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는 "고난도·고효능 장수명 소재 개발 확대와 초고순도 승화정제 사업진출을 진행할 것"이라며 "장수명 소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2014년부터 약 10년 동안 축적된 중수소 치환기술을 기반으로 장수명 트렌드에 맞춰 고부가가치 OLED 호스트 소재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옥천공장 내 신규 공장 등(생산 3동) 증설로 합성 CDMO 업계 최대 수준의 생산 능력도 확보해 생산설비 확대 및 고객맞춤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사는 공모자금을 통해 시설자금 150억원, 운영자금 26억3900만원, 채무상환자금 20억원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세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