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우리나라 국민, 신용카드 결제 선호도·사용빈도 가장 높아

금융 카드

우리나라 국민, 신용카드 결제 선호도·사용빈도 가장 높아

등록 2025.03.25 12:00

김명재

  기자

공유

한은, 지급수단·모바일금융 이용행태 조사 발표지급수단 비중 46.2%···해외 결제 사용도 '1위'대면 거래시 현금 여전히 보편적 지급수단 통용

사진=한국은행 제공사진=한국은행 제공

우리나라 국민들의 신용카드에 대한 선호도와 사용빈도가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 선불충전금 등 지급수단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은행은 '2024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해당 조사는 금융소비자 지급수단 선호와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현황을 파악, 지급결제 정책수립에 참고하기 위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35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지급수단별 편리성, 안전성, 수용성 및 비용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기초로 한 종합만족도는 신용카드(75.5점)가 제일 높았고 체크카드(72.9점), 현금(64.4점), 선불충전금(54.5점) 순으로 집계됐다.

이용 건수 기준 지급수단별 이용 비중도 신용카드(46.2%)가 가장 많이 사용됐다. 체크카드(16.4%), 현금(15.9%), 모바일카드(12.9%) 등이 뒤를 이었다.

또 한은은 최근 1년 내 해외에서 결제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들은 실물카드로 해외에서 결제 시 신용카드 사용 비율이 89.2%로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연령별로 보면 20~30대는 모바일카드, 40~50대는 신용카드, 60대 이상에서는 현금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연령대별로 선호하는 지급수단이 상이한 모습이 나타났다. 이같은 연령별 차이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친숙도, 비대면 거래 선호도 및 경제활동 규모 등에 근거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은 측은 설명했다.

반면 최근 1개월 내 대면 거래 시 이용경험을 묻는 설문에서는 현금이 높은 응답(88.0%)을 보이는 등 대면 거래에서 여전히 보편적인 지급수단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모바일금융서비스의 경우 조사대상자의 81.3%가 최근 1개월 내에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1년 조사의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경험 비율(65.4%)과 비교했을 때 15.9%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연령별로 보면 20~40대의 경우 95% 이상, 50대는 90%에 가까운 이용경험 비율을 나타냈고 60대 이상도 50% 이상 이용해본 적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은은 이번 조사가 국민들이 다양한 지급수단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 당행 및 업계가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은 관계자는 "현금 이용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디지털 금융 취약 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여 비현금 지급수단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 당행 및 업계가 지속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비현금 지급수단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