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관·이재용 이어 재계인사 총출동車 품목관세 인하 논의 힘실을 전망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은 두 번째 재계 총수의 합류로 다음 달 1일 데드라인을 앞둔 관세협상 담판을 위한 민관 총력전이 펼쳐질 전망이다.
30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날 오후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정 회장은 현재 막판 논의가 진행 중인 관세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이재용 회장에 이어 세 번째 재계인사로 협상단에 합류한다.
앞서 김동관 부회장은 한국 정부가 조선업 협력을 위해 미국에 제안한 조선업 'MASGA(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의 핵심 파트너로서 지난 28일 워싱턴으로 향했다.
다음날인 29일에는 재계 1위 삼성전자의 이 회장이 이를 따랐다. 이 회장은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 및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협력 방안 등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올해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4년간 210억 달러(약 29조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한 글로벌 3위 완성차그룹 수장인 정 회장이 합류하며 한국 관세협상단의 행보에 큰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한국의 최대 경쟁국인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이를 15%로 내리는 데 성공하며 현대차그룹 최대 수출국인 미국과의 협상에 정 회장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재계에 따르면 애초 정부가 국내 기업들로부터 약속받은 직접투자액 '1000억 달러+α'에서도 현대차그룹이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