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 서울

  • 인천 30℃

  • 백령 26℃

  • 춘천 30℃

  • 강릉 27℃

  • 청주 26℃

  • 수원 28℃

  • 안동 25℃

  • 울릉도 24℃

  • 독도 24℃

  • 대전 25℃

  • 전주 25℃

  • 광주 24℃

  • 목포 25℃

  • 여수 22℃

  • 대구 24℃

  • 울산 23℃

  • 창원 24℃

  • 부산 24℃

  • 제주 27℃

IT 네오플 노조 "파업 명분 상실? 사실 아냐" 정면 반박

IT 게임

네오플 노조 "파업 명분 상실? 사실 아냐" 정면 반박

등록 2025.08.12 17:16

강준혁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핵심 코멘트

조정우 노조 분회장, 정보 요구 철회는 일부 사안에 국한

근로 조건 논의 집중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

성과 분배 제도화 요구 입장 변함 없다고 강조

숫자 읽기

네오플, 작년 영업이익 약 9824억 원 기록

노조, 이 중 4%를 PS 형태로 직원 분배 요구

회사,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 운영 중이라며 PS 도입 거부

주목해야 할 것

노사 갈등 장기화로 던전앤파이터 유저 불만 증가

20주년 오프라인 행사 취소 등 후폭풍 현실화

게임 완성도 하락·유저 이탈 우려 커지는 상황

"성과급 제도화 요구, 지금도 유효"···정보 요구 철회 해명"쟁점은 PS 보상 체계 확립"···노조, 회사 주장에 반박유저 불만 고조 속 'DNF 유니버스' 행사 취소 여파 확산

"회사가 노조의 정보 요구 철회를 진행했으므로 파업과 집회의 명분이 사라졌다는 내용의 기사가 쏟아지고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조정우 네오플 지회장이 넥슨코리아 사옥 앞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강준혁 기자조정우 네오플 지회장이 넥슨코리아 사옥 앞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강준혁 기자

조정우 네오플 노조 분회장은 12일 경기도 판교 넥슨코리아 사옥 앞에서 열린 '네오플 파업 투쟁 승리를 위한 화섬식품노조 결의대회'에서 "성과 분배(PS) 제도화 요구의 핵심은 공정하고 투명한 보상 체계 확립이며 이 입장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앞서 네오플 노조가 올해 3월 성과 보상 및 분배와 관련한 정보 공개 요구를 철회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노조는 지난 1일 전면 파업 전환 선언 당시 '성과급 제도의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를 파업 확대 배경으로 언급한 바 있다. 만약 보도가 사실이라면, 노조가 스스로 철회한 요구를 전면 파업 명분으로 내세운 셈이다.

이에 대해 조 분회장은 "회사가 주장하는 철회한 정보 공개 항목은 '던전앤파이터 모바일'과 중국 GI(Growth Incentive, 성과급) 관련 2개 사안에 한정된다"며 "이마저도 문제 해결을 위한 철회가 아닌 정상적인 임금 인상 일정을 맞추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근본적인 근로 조건에 대한 논의에 집중하기 위해 회사의 제안을 받아들여 일부 요구를 철회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분회장은 "3월 내 PS 제도화를 위해 회사의 제안을 수용한 결정이었다"며 "당초 회사는 노조가 받아들일 수 없는 단협안을 제시해 상호 교섭이 어려웠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요구안을 철회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핵심 쟁점인 PS 제도 도입과는 무관하다는 의미다.

노조에 따르면 회사는 최초에 조합 규모를 최대 200명으로 줄이고 쟁의 활동에 참여할 인원도 사전에 지정하길 요구했다.

조 분회장은 "보도와 달리 GI 정보 공개 및 제도 개선 요구가 회사 제안에 의해 철회된 만큼 노조의 보상과 신뢰성 회복이라는 본연의 목표가 더욱 분명해졌다"고 강조했다.

네오플 노조는 지난 6월 게임업계 첫 파업에 돌입해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6월 초 부분파업에 이어 같은 달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전면파업을 단행했으며 지난달 7일부터는 주 3일 전면파업과 주 2일 부분지정 파업 체제로 전환했다. 지난 1일부터는 주 5일 무기한 전면파업을 이어가며 투쟁 수위를 높이고 있다.

파업의 핵심 쟁점은 성과급 제도다. 노조는 지난해 약 9824억 원의 영업이익 중 4%를 PS 형태로 직원에게 분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회사는 GI·KI 성과급, 마일스톤 인센티브, 스팟 보너스 등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 중이라며 PS 제도 도입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사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던전앤파이터'(던파) IP 게임 유저들의 불만도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특히 지난 9일 예정됐던 '던파' 20주년 오프라인 행사 'DNF 유니버스'가 전격 취소되면서 팬들의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게임 완성도 저하와 서비스 품질 하락, 유저 이탈 등 후폭풍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