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23℃

제주 24℃

증권 증권가, '10·15 대책'에 이견···중견사 위주 선별투자 권고

증권 종목 애널리스트의 시각

증권가, '10·15 대책'에 이견···중견사 위주 선별투자 권고

등록 2025.10.16 09:10

김호겸

  기자

공유

주택 가격 안정 기대와 중장기 성장 가능성 공존정책 영향에 따른 투자전략 다각도 분석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정부가 지난 15일 '10·1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서울 쏠림 완화 및 주택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대출 규제 강화 및 규제지역 확대가 건설사 정비사업 지연과 실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은 16일 "규제 지역 확대에 따라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을 가능성이 커지며 정비사업의 진행 속도가 더딜 수 있다"며 "최근 산업 재해 리스크로 비용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 정비사업의 수주 및 착공 감소 리스크는 주택 매출에도 부정적"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특히 "이번 규제로 매매가격 상승세가 단기적으로 둔화할 수 있으나 중장기적인 매매가격 흐름은 시간을 두고 확인이 필요하다"며 "월세 가격 상승세와 서울의 입주 물량 부족 등 가격 상승 요인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의 분양 물량 중 80% 이상이 정비사업에서 나오고 있어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 사업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다. 배 연구원은 "산업재해 대응 비용 증가와 '노란봉투법' 시행에 따른 추가 리스크까지 겹쳐 국내 주택 매출 감소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10·15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은 단기적으로 상승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중장기적인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란 의견도 존재한다.

신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는 긍정적인 유동성 환경과 수도권 주요 시장의 제한적인 공급에 대한 우려, 시장의 매물 감소 때문"이라며 "아파트가 대표적인 투자자산으로 인식되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을 대출 정책으로만 제어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정책에 대해 정부도 부동산 하락을 원한다고 판단하지 않는다"며 "단기 과열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파악되고 금리 인하와 재정 확대 가운데 부동산의 급등을 선제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책이 건설사에 일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신 연구원은 "서울과 서울 주변부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억제 정책이 장기간 지속될 것이란 기대 가운데 금리 인하와 확장 재정을 통한 유동성 증가가 기대된다"며 "특히 최근 해당 지역들의 전세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으나 매매가 상승은 제한됐다는 점에서 투자 매력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판단했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도 "이번 대책으로 서울과 수도권 주택시장 과열이 진정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대출과 거래, 세제를 총망라한 강력한 수요 규제로 풍선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광범위한 대상지역 지정 및 빠른 시행으로 시장에 즉각적인 효과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김선미 연구위원은 다만 주택가격은 안정화되겠으나 중장기적으로 서울 선호현상 해결을 위한 지방 활성화 및 민간 도시정비사업 규제 완화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무엇보다 정책 리스크가 건설과 건자재업종 투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미 낮아진 실적 기대감, 지수 상승 속 상대적 소외, 비어있는 수급 등을 고려하면 주가 하방리스크는 크지 않으나 비주택 부문으로 실적을 차별화하는 업체 및 정부정책과 맥을 같이하는 중견사 위주로 선별투자를 권고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