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서 핵잠 협력 촉구방위비 증액· 대미 투자 확대 통한 동맹 강화 의지
29일 이 대통령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전에 충분히 자세한 설명을 해드리지 못해 약간의 오해가 있으신 것 같다. 우리가 핵무기를 적재한 잠수함을 만들겠다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디젤 잠수함은 잠항 능력이 떨어져 북한이나 중국 잠수함 추적에 한계가 있다"며 "핵잠의 연료 공급이 허용되면 우리 기술로 재래식 무기를 탑재한 잠수함을 여러 척 건조해 한반도 동·서해 방어에 투입할 수 있고 미군 부담도 상당히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에 대해 "이미 미국이 지지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나 우라늄 농축 부문에서도 실질적 협의가 진척되도록 지시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한미관계는 동맹의 현대화를 통해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대한민국도 방위비 증액과 방위산업 발전을 통해 자체적 방위역량을 대폭 키울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현재 방위비 지출 수준은 북한의 1년 국내총생산(GDP)의 1.4배에 이를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다. 전 세계에서 군사력 평가 5위로 인정되고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미국의 방위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대한민국의 방위산업 지원이나 방위비 증액은 저희가 확실하게 해 나가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양국 관세협상과 맞물린 대미 투자와 관련해선 미국 주가지수가 사상최고치를 갱신한 것을 언급, "대미 투자 및 구매 확대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지원하겠다"며 특히 "조선 협력도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 그게 양국 경제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한미동맹을 실질화하고 심화하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해서 "아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진심을 잘 수용하지 못하고 이해를 잘 못한 상태"라며 북미 정상 회동이 불발됐음을 공식화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회담을 요청하고 언제든지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한반도에 상당한 평화의 온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것도 또 하나의 씨앗이 돼 한반도에 거대한 평화의 물결을 만드는 단초가 될 것"이라며 "우리로서는 큰 기대를 가지고 대통령님의 앞으로 활동을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김선민 기자
minibab35@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