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반도체 관세 미포함 공식 확인농산물 추가 개방 논란···한국 정부 발표와 온도차

러트닉 장관은 29일(현지시간) 엑스(X)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회담에서 한국이 자국 시장을 100% 완전 개방하기로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쌀과 소고기를 포함한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을 막았다는 한국 정부의 설명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면서 이번 합의에 포함된 관세 조정 내용을 언급하며 "반도체 관세는 이번 합의의 일부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 정부는 반도체 관세 부과를 추진 중이며, 조만간 공식 발표가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한국 정부는 앞서 "반도체의 경우 주요 경쟁국인 대만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어 양국의 설명이 엇갈리고 있다.
러트닉 장관의 발언대로라면 반도체 관세는 아직 조정 여지가 남아 있으며, 공식 합의문에 서명할 때까지 품목별 관세의 세부 적용 방식을 두고 당분간 줄다리기를 이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러트닉 장관은 한국의 대미 투자 계획 3500억 달러의 구체적 사용처도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승인한 첫 투자 분야는 조선업으로, 미국 내 선박 건조에 최소 1500억 달러가 투입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추가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추진되는 프로젝트들에 또 다른 2000억달러의 투자를 지시할 것이며 여기에는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에너지 기반시설, 핵심광물, 첨단제조업, 인공지능(AI)과 양자컴퓨터가 포함된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이윤구 기자
hsguy919@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