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타결 김동관 부회장, 발로 만든 기회···K-조선, 미국 진출길 '활짝' 한국과 미국이 한미 관세협상을 타결하며 K-조선의 미국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다. 양국은 관세를 인하하고, 마스가 프로젝트를 통해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협력펀드를 조성했다. 한화오션, HD현대 등 국내 조선사가 미국 투자와 협력을 강화하면서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관세 타결 의약품 '최혜국 대우'에도 불확실···업계, 미국 정책 주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으나, 의약품의 구체적 관세 적용은 불확실하다. 최혜국 대우가 약속되었음에도 업계는 세부 조건 미확정으로 긴장하고 있다. 관세 인하에도 수익성 저하, 약가 인상, 공급 차질 등 부작용 우려가 크다.
관세 타결 상호관세 낮추고 '최혜국 대우' 약속···반도체, 한숨 돌렸다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협상에서 한국산 제품 관세를 15%로 낮추며 반도체 업계의 부담이 일부 덜어졌다. 3500억달러 현지 투자와 자동차 관세 인하, 반도체에 대한 최혜국 대우까지 약속받았으나, 품목별 관세 공개와 추가 논의로 완전한 불확실성 해소는 이르다.
관세 타결 15%로 낮췄다···현대차·기아, 아쉽지만 최악 피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으로 국내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됐다. 현대차·기아 등 완성차 업계는 대미 수출 실적 방어와 가격 경쟁력 유지에 성공했다. 관세 인하로 예상 손실이 크게 줄었지만, 한국 정부가 요구했던 12.5%에는 미치지 않아 일부 아쉬움도 제기됐다.
관세 타결 '50%' 유지···철강업계만 '고립무원' 미국과 한국의 상호관세 협상에서 대부분 품목은 관세가 인하됐으나, 철강·알루미늄에는 50% 고율관세가 유지됐다. 이로 인해 국내 철강업계는 연 2조4000억원 피해가 우려되며, 실제 수출액도 8% 감소했다.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등으로 글로벌 경쟁력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