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9일 화요일

서울 26℃

인천 27℃

백령 27℃

춘천 25℃

강릉 29℃

청주 27℃

수원 26℃

안동 26℃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27℃

전주 27℃

광주 27℃

목포 27℃

여수 28℃

대구 28℃

울산 28℃

창원 28℃

부산 28℃

제주 27℃

전기차캐즘 검색결과

[총 22건 검색]

상세검색

K배터리 '흑자 모드' ON ···다음 목표는 '점유율 탈환'

에너지·화학

K배터리 '흑자 모드' ON ···다음 목표는 '점유율 탈환'

3분기의 절반이 이미 지나자 기업들은 올해 사업 성적표를 점검하며 내년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2023년부터 발목을 잡고 있는 '전기차 캐즘'의 긴 터널 속에서도, 국내 배터리 3사는 다같이 '흑자 잔치'로 한 해를 마무리할 채비에 나섰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는 올해 4분기 동반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전기차 캐즘'이 본격화된 2023년 이후 처음으로 의미 있는 동반 흑자를 내는 셈이다. 2023년 1분기

현대차 전기차 美서 고전하는데 테슬라는 국내서 훨훨

자동차

현대차 전기차 美서 고전하는데 테슬라는 국내서 훨훨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전기차 수출량이 4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미국 내 전기차 판매가 주춤한 데다가 최근 현대차가 현지 생산을 본격화하면서 수출 물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반면 미국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는 올해 한국 시장 내 실적을 끌어올리며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22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등에 따르면 올해 1∼5월 현대차그룹이 미국에 수출한 전기차 수는 7156대로 작년 동기(5만9705대)보다 88% 축소됐다. 브랜드별

"채용 줄고, 퇴사는 급증"···K배터리 인력 기반 '흔들'

에너지·화학

"채용 줄고, 퇴사는 급증"···K배터리 인력 기반 '흔들'

국내 배터리 업계의 '인력 역성장'이 본격화됐다. 채용의 문은 급격히 좁아지는 반면, 퇴직의 문은 넓게 열려 있는 모양새다. 전기차 수요 둔화와 실적 악화 속에서 구조조정과 조직 슬림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1위 중국 CATL이 국내 인력 영입에 속도를 내며 산업 전반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7일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2024년) 3사의 총 채용 인원은 1만378명으

"2분기 힘겹게 견뎠다"···K배터리, 반등 신호는 '미약'

에너지·화학

"2분기 힘겹게 견뎠다"···K배터리, 반등 신호는 '미약'

국내 배터리 3사는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들 속에서 혼란스러운 2분기를 보냈다. 핵심 성장 동력인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생산세액공제(AMPC) 종료 시점을 둘러싼 논의가 반복되며, 당초 2027년 종료로 축소될 뻔했던 기한이 다시 2031년 말로 조정됐다. 여기에 리튬 가격이 4년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반등 기미 없이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실적 회복의 동력 마련은 더 어려워졌다. 애초에 배터리 업계는 1분기를 저점으로 보고, 2분기부

전기차 관심 식은 GM···K-배터리 '좌고우면'

에너지·화학

전기차 관심 식은 GM···K-배터리 '좌고우면'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전기차에서 한발 물러나 내연기관차 중심으로 전략을 조정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GM은 지난해 중반까지 유지하던 연간 40만대 전기차 생산 목표를 철회했으며 예고했던 신규 전기차 생산 일정도 잇따라 연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GM이 내연기관차 비중을 다시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정책 대응에도 서슴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해 캘리포니아주는 전체 신

'캐즘 장기전'···전기차에서 '로봇'으로 눈 돌리는 K-배터리

에너지·화학

'캐즘 장기전'···전기차에서 '로봇'으로 눈 돌리는 K-배터리

전기차의 수요가 잠시 브레이크를 밟자, 배터리 기업들이 새 활로 찾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미래 성장성이 높은 로봇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나선 모습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부터 베어로보틱스가 생산하는 서빙용 로봇인 '서비 플러스', '물류용 자율주행로봇 카티' 등에 배터리 셀을 공급 중이다. 지난해 11월 MOU(업무협약)를 체결한 이후 원통형 2170 배

1분기 '흑자전환' 성공한 LG엔솔···"운영 효율화로 불확실성 극복"(종합)

에너지·화학

1분기 '흑자전환' 성공한 LG엔솔···"운영 효율화로 불확실성 극복"(종합)

LG에너지솔루션은 2023년 1분기에 AMPC 혜택과 생산시설 효율화를 통해 흑자로 전환했다. 1분기 매출은 6조2650억원, 영업이익은 3747억원을 기록했으며, AMPC 반영이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전기차 캐즘과 관세 리스크로 2분기 실적은 제자리걸음이 예상된다. LG는 운영 효율화와 전략적 사업 기회 발굴로 불확실성에 대응할 계획이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