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강국으로 자부해 온 우리나라가 미확인 해커의 ‘사이버 테러’ 공격에 그대로 노출된 상황이 재연된 것이다.
전산 장애가 발생한 은행은 인터넷뱅킹과 지점의 단말기 등 전산 관련 업무가 마비돼 고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모 은행의 경우 인터넷뱅킹·스마트뱅킹·현금자동입출금기 이용뿐만 아니라 한때 영업점에서 입출금이나 송금을 할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문제는 이후다. 기습을 당한 해당 방송사와 은행은 허둥댔고, 속수무책의 상황을 지켜보는 국민들은 불안에 떨어야 했다.
실제 한 지인은 전화를 걸어와 본인이 사용한 신용카드가 미승인됐다며 자신의 은행계좌에 문제가 발생한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사이버 테러가 국가기관은 물론 기업이나 일반 국민의 피부에 닿는 현실 문제가 된지 이미 오래다. 특히 전산마비로 금융소비자들이 금융거래를 할 수 없게 되면 엄청난 혼란을 초래한다는 점은 이번 사태에서 명확히 드러났다.
디도스 공격으로 청와대를 포함한 주요 정부기관 사이트와 대형 인터넷 포털, 금융기관 등의 사이트가 마비돼 큰 피해를 입은 게 불과 몇년 전이다. 이후 정부는 인터넷 보안체계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려왔다.
그러나 이번 전산망 마비 사태에서 볼 수 있듯 완벽한 사이버 공격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국가 주요기관 및 금융사에 대한 사이버 테러는 국가 전체의 주요 전산망과 금융의 중요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다.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사전에 철저하게 대비하고, 대응해 나가야 한다.
세계 각국은 총성 없는 사이버 전쟁에 돌입한 지 이미 오래다. 특히 해커의 공격에 대비해 사이버 특수부대를 창설하고 전산망 보안장벽을 설치하는 사업에 엄청난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중국과 미국은 사이버 세계 패권을 놓고 경쟁이 한창이며, 러시아·인도·일본·영국·프랑스 등 주요국들도 팔을 걷고 나섰다.
그러나 우리는 IT 강국이라 자부하면서도 유독 보안에는 허술한 측면을 보여왔다. 국가 차원에서의 사이버 위기관리 기능이 미약할 뿐 아니라 정보보호 분야에 대한 투자 또한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게다가 기업의 사이버 테러에 대한 대책은 초보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사후 약방문’식으로 문제가 터진 후에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부는 사이버 해킹과 테러의 위험에 대해 사안이 발생할 때마다 그때그때 대처할 것이 아니라 전방위적인 사이버 테러에 대비한 확실한 국가 안보 태세를 갖춰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개별 금융사가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금융피해를 예방하고 재발 방지를 하기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정부와 금융감독당국, 금융권 및 경찰청 등 관련 기관이 합동으로 특단의 사전 종합대책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첨단 IT기술이 가장 먼저 실용화하는 우리나라가 국내외 해커들의 공격 대상 1호가 된 지 오래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영백 자본시장부장 young@
뉴스웨이 서영백 기자
young@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