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부, 中企 3D기술 국제 표준화 추진

정부, 中企 3D기술 국제 표준화 추진

등록 2013.04.11 10:18

안민

  기자

공유

정부가 중소기업의 3D 특허기술에 대해 국제 표준화를 추진한다.

11일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은 3D융합산업의 활성화와 관련 중소기업 특허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지식재산권(IP) 연계형 표준화를 주제로 ‘글로벌 3D 표준 & IP 포럼(3DSIF) 2013’을 열었다고 밝혔다.

IP연계형 표준화는 특허 등 지식재산권(IP)을 포함하는 표준을 만드는 것으로 장기적으로는 MPEG-LA와 같은 특허풀을 형성함으로써 특허권자에게는 기술료 수입을 보장하며 특허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IP 연계형 표준화가 중요한 이유는 표준특허 사용에 대한 기술료를 받을 수 있으며, 표준화에 참여한 기업들은 상호 특허분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포럼에서 동영상압축기술(MPEG) 표준특허 관리기관인 MPEG-LA의 빌 게리 부사장은 3D비디오 특허풀 주요현황과 계획 등을 발표했으며 한국은 3D-TV, 눈 안전성의 휴먼팩터, 클라우드기반 3D게임 등 다양한 3D 응용분야의 IP-표준 연계 전략을 선보였다.

이와 관련해 기술표준원은 ‘3D휴먼팩터’와 ‘3D의료‘ 표준화 작업반을 2011년과 2012년에 각각 사실상표준화기구 IEEE 내에 신설했으며 앞으로 ’3D에듀테인먼트‘ 작업반을 구축해 IEEE 내에서 3D융합산업 표준화를 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민 기자 peteram@

뉴스웨이 안민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