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이 기준금리 동결을 예측하고 있었기 때문에 결과에 따른 증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13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월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2.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기준금리는 지난 5월 한 차례 인하(0.25%포인트)된 후 9개월 째 동결을 유지하고 있다.
한은은 기준금리 동결 이유로 글로벌 경기가 조금씩 회복을 주요항목으로 잡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양적완화 추가 축소 결정 이후 글로벌 금융상황이 유동적이고 중국이나 신흥국에 대한 우려가 완전히 가시지 않은 상황이므로 기준금리를 변경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 요인 중 하나였던 엔저 현상이 미국의 추가 테이퍼링 이후 완화된 것도 동결 배경이다.
증시 전문가들은 선제적 금리 인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금리 변경시 따르는 리스크가 만만치 않았기 때문에 동결 결정을 내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리딩투자증권 정정원 연구원은 “금리를 인하할 경우 국내 은행 자산 수익률이 너무 낮아질 수 있고 인상할 경우 회사채 만기 이자 부담이 증가될 수 있기에 전격적인 금리 변경은 부담이 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정 연구원은 “특히 국내 소비나 건설 투자, 자본 투자가 조금씩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역설적으로 금리 인하 효과가 가시적이지 못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준금리가 예상대로 동결된 만큼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SK증권 고승희 연구원은 “변한 것은 아무 것도 없기에 영향도 없을 것”이라며 “현재 국내 증시는 기준 금리 변동 이슈보다는 대외 환경적 변화에 더 민감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LIG투자증권 김대준 연구원도 “증시 변동은 예상치 못한 요인에 따라 발생한다”며 “시장 참여자 모두 동결을 예상하고 주가에 이미 선반영됐기 때문에 특별한 움직임이 나타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향후 기준금리 변동 시기는 한은 총재가 바뀌는 4월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증권 배성영 연구원은 “임기말이 다가온 김 총재가 금리 동결 구조를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한은 총재가 바뀌는 4월쯤 경기부양을 위해 정부가 금리인하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민수 기자 hms@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hm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